탑배너 닫기

제주도, 5월부터 한라산 정상 구간 아니면 예약없이 탐방 가능

한라산 등반객들. 제주도한라산 등반객들. 제주도
제주 한라산 탐방예약제가 5월부터 정상 구간에만 적용되고 나머지 코스는 예약없이도 등반이 가능해진다.

제주도는 다음달 3일부터 한라산 탐방예약제 운영 구간을 조정해 백록담 정상 구간이 아니면 예약없이 탐방할 수 있게 된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한라산 성판악에서 진달래밭까지 7.3㎞와 관음사에서 삼각봉까지 6㎞ 구간도 자유로운 탐방이 가능해졌다.

탐방예약제는 성판악 탐방로의 경우 진달래밭부터 한라산 정상인 백록담까지, 관음사 탐방로는 삼각봉부터 백록담까지만 각각 적용돼 기존처럼 예약을 해야 등반할 수 있다.
 
한라산 탐방예약제는 2021년 1월부터 시행돼 성판악 9.6㎞와 관음사 8.7㎞ 코스 전 구간에 대해 하루 성판악 1천명, 관음사 500명으로 탐방객 수를 제한해왔다.

그러나 제주도는 도민들이 즐겨찾는 사라오름과 탐라계곡을 오를 때도 매번 예약을 하는 데 따른 불편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됐다고 밝혔다.

또 탐방예약제 없이 등반이 가능한 영실과 어리목 구간에만 탐방객이 집중돼 환경훼손 우려가 발생했다고 제주도는 설명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기준 탐방예약제가 적용된 성판악에는 3만 9391명이, 관음사 구간에는 1만 5793명이 찾은 반면, 예약없이도 갈 수 있는 어리목은 6만 2953명, 영실은 5만 8838명이 각각 등반해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달 7일 전문가 토론회에서도 한라산 탐방 기회 확대와 자연 훼손 최소화의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최근 한라산국립공원이 실시한 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66.1%가 탐방예약제의 지속 운영에 찬성하면서도 60.3%는 운영방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제주도는 탐방예약제 조정을 통해 한라산 등반을 희망하는 국내외 관광객들의 제주 방문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2년 주기의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면서 탐방예약제의 실효성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