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핵심요약

베트남·말레이시아·캄보디아 방문해 '미국에 맞서 싸우자'
각국 '다자 무역체제 지지', '일방주의 반대' 등 입장 밝혀
적정선서 중국 요구 수용하며 한편에선 미국과 관세협상
미국 요구도 적극 수용…중국 요구 '항미'와 거리 먼 행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이 17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에 도착, 훈 센 전 캄보디아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이 17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에 도착, 훈 센 전 캄보디아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동남아 3개국 순방이 18일 마무리됐다. 미중 무역전쟁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시 주석은 이번 순방을 통해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함께 맞설 우군 확보를 위해 총력전을 폈다.

순방국들은 '다자 무역체제 지지'를 비롯해 중국이 원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등 중국과 보조를 맞추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미국과의 협상을 준비하며 양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는 모양새다.

동남아 3국 '일방주의 반대' 입장…중국 '우군확보' 자평

올해 첫 순방지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을 택한 시 주석은 이날 마지막 순방국인 캄보디아에서의 일정을 모두 마무리하며 지난 14일부터 시작된 4박 5일간의 순방을 마쳤다.

동남아에서 대표적인 친중 국가로 꼽히는 캄보디아에서 시 주석은 38년간 집권한 훈 센 전 총리(현 상원의장)를 비롯해 그의 아들인 훈 마네트 총리,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과 잇따라 회동했다.

시 주석은 전날 훈 마네트 총리와의 회담에서 미국을 겨냥해 "양국은 일방주의와 괴롭힘에 반대하며,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해야 한다"면서 "양측은 블록 경쟁과 진영 대결에 단호히 저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훈 마네트 총리도 "일방주의가 전 세계를 불안정하게 하고 다자간 무역 체제가 압박을 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리더십을 발휘하며 세계에 소중한 안정을 제공했다"며 중국과의 협력 강화를 약속했다.

시 주석은 15일부터 17일까지 머문 말레이시아에서도 미국을 겨냥한 행보를 이어갔는데 양국은 "자의적 관세 인상을 포함한 일방적인 무역 제한 조치를 거부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시 주석의 첫 방문국인 베트남 역시 중국과 함께 "패권주의와 힘의 정치, 모든 형태의 일방주의, 그리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 반대한다"는 내용의 공동성명를 채택했다.

3국 모두 중국이 원하는 '다자 무역체제 지지'와 '일방주의 반대' 등 사실상 미국을 겨냥한 비판에 공감의 뜻을 밝힌 것을 두고 중국 내에서는 시 주석이 이번 순방을 통해 '우군확보'에 성공했다고 자평하는 모양새다.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18일 "미국이 관세와 경제적 압력을 전략적 강압의 도구로 사용하는 상황에서, 시 주석의 국빈 방문은 동남아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강압과 패권에 맞서겠다는 자신감을 보여준다"고 보도했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미국과 관세협상에 적극 나선 3개국…'항미'와 거리멀어

다만, 이번 순방 대상국들이 주변국인 동시에 최대 무역국이자 투자국 가운데 하나인 중국의 요구를 거부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적정선에서 중국에 장단을 맞추며 '립서비스'를 제공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과 베트남의 공동성명에 대해 "대체로 과거 성명에서 나온 표현과 비슷한 수준이며, 베트남 측은 이번 시 주석 방문 기간 트럼프 대통령을 불쾌하게 할 수 있는 발언은 피하는 듯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미국이 고율 관세 부과를 예고한 이들 동남아 3국은 시 주석을 환대하는 동시에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에 함께 맞서 싸우자는 '항미'와는 거리가 먼 행보다.

말레이시아는 무역장관을 미국으로 보내 오는 24일부터 관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며, 캄보디아는 총리 명의 서한을 보내 미국산 19개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를 약속하는 동시에 무역 협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베트남은 특히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위해 중국산 상품의 대미 우회 수출 단속을 벌이는가 하면 민감 품목의 대중국 수출 통제를 강화할 준비를 하는 등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의 요구까지 적극 수용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10일부터 중국에 145%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또, 베트남에는 46%, 캄보디아에는 49%, 말레이시아에는 24%의 상호관세를 각각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뒤 90일간의 유예기간을 뒀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