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울산 국가지역전략사업 3곳 선정…산단 그린벨트 해제 가능

LIVE

울산 국가지역전략사업 3곳 선정…산단 그린벨트 해제 가능

울산시, 수소 융·복합밸리 등 3개 산단 확장·신규 조성

김두겸 울산시장은 25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 국가 지역전략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울산시 제공김두겸 울산시장은 25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 국가 지역전략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울산시 제공
울산시는 25일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사업을 포함한 3개의 '울산권 국가·지역전략사업'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들 지구의 경우 환경평가 등급에 구애받지 않고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가능해졌다.
 
지역전략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특화산업 육성 등 균형발전 기여도가 큰 지자체 주도 사업으로, 중앙도시계획위원회와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선정된다.
 
이 사업에 선정되면 환경평가 등급에 구애받지 않고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 제도는 지난해 2월 울산에서 개최된 민생토론회에서 '개발제한구역 규제혁신'에 포함돼 처음 발표됐다.
 
시는 지난해 5월 31일 국토교통부에 후보사업을 신청한 이후 국토연구원의 사전검토위원과 사업 추진의 필요성, 개발수요 및 규모, 입지의 불가피성 등 사업 적정성 검증에 대비한 선제적 대응과 설득 논리 강화 등 행정력을 집중해 왔다.
 
그 결과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 울산 U-밸리 국가산업단지, 성안·약사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선정됐다.
 
울산 수소 융·복합밸리는 기존 테크노 산업단지를 남구 옥동과 두왕동 일원까지 확대해 미래 먹거리인 수소 산업의 핵심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울산 U-밸리 국가산업단지는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을 위해 울주군 청량읍 용암리 일대로 온산국가산업단지를 확장하는 사업이다.
 
성안·약사일반산업단지는 산업단지가 없는 중구에 저탄소, 친환경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는 그린 스마트 산업단지를 만들어 경제기반을 강화하고 청년 인구 유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이다.
 
시는 3개 선정 사업을 통해 약 20조의 생산유발효과와 13만여 명의 고용유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사업 예정 부지에 대해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즉시 지정해 부동산 투기를 사전에 차단하고, 원활한 사업추진이 되도록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부동산 거래 질서를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사업별로 준비 중인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를 신속히 추진해 본격적인 대규모 산업용지 확충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선정되지 못한 후보지는 사업 내용을 보완해 국토교통부와 사전협의 절차를 진행한 뒤 울산시 해제 권한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