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지자체간 갈등빚던 천안 생활폐기물 소각장 대체시설 본격화

충남도·아산시와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시설 상생협력' 협약

천안 백석동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시설 부지. 천안시 제공천안 백석동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시설 부지. 천안시 제공
지자체간 갈등으로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난항을 겪어왔던 충남 천안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대체시설 설치가 본격 추진된다.
 
22일 천안시에 따르면 서북구 백석동 백석환경에너지사업소에 지난 2000년 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가 들어섰다. 1호기의 내구연한이 초과하면서 천안시는 2020년부터 대체시설 건설 절차에 돌입했고 1호기 인근 지역인 백석공단1로 97-13일원을 신규 입지로 정했다.
 
폐기물시설촉진법에 따라 소각시설은 부지경계가 다른 지방자치단체 경계와 300m 이내일 경우 해당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 1호기 신증설을 위해선 아산시와의 협의가 필요했던 것.
 
시는 아산지역 마을 등이 포함된 주민지원협의체와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으나, 지난 2023년 아산시와 상생지원금, 주민지원협의체 위원 구성, 기금 배분 등에 대한 의견 차이로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렸다.
 
시는 환경부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을 신청했고, 조정결과가 나왔지만 아산시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지난해 6월에는 충남도가 중재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아산시와의 의견차이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그러다 최근 충남도가 아산시의 주변영향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설명회,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대체시설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설명하면서 타협을 이끌어냈다.
 
아산시의 강경입장이 선회한 이유중에는 박경귀 전 아산시장의 낙마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그동안 박 전 시장은 소각시설과 관련한 요구사항에 대해 무리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러다 박 전 시장이 지난해 10월 대법원에서 당선무효형이 확정되면서 시장직을 잃게 됐고 이에 따라 충남도의 중재안이 받아들여진 것으로 풀이된다.

대체시설 조감도. 천안시 제공대체시설 조감도. 천안시 제공
천안시와 충남도, 아산시는 이날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시설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시설은 2031년 준공을 목표로 1670억 원을 투입해 천안시 서북구 백석공단1로 97-13 일원에 부지면적 1만 7581㎡, 건축면적 4305㎡ 규모, 일 400톤의 생활폐기물·음폐수 처리 시설로 건립된다.
 
3개 기관은 대체시설이 원활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행정적 절차 이행, 사업비 확보 등 폐기물 감량화·자원순환 정책 협력, 주민지원방안 이행, 주민지원기금 효율적 집행, 소각시설 현대화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한다.
 
시는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호기 대체시설 행정절차를 진행하고, 2028년 착공해 2031년 준공할 계획이다.
 
박상돈 시장은 "대체시설 재추진은 충남도의 중재와 아산시의 협조 덕분"이라며 "이번 협약은 단순히 시설 설치와 운영을 넘어 지역 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자는 약속으로, 천안시는 주변영향지역 주민들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