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테슬라CEO 머스크 "중국 전기차에 고관세?…난 반댈세"



미국/중남미

    테슬라CEO 머스크 "중국 전기차에 고관세?…난 반댈세"

    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비바 테크놀로지' 행사에 화상으로 참여한 일론 머스크. 연합뉴스2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비바 테크놀로지' 행사에 화상으로 참여한 일론 머스크. 연합뉴스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23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대중국 관세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최근 미국 정부는 오는 8월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머스크는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비바 테크놀리지' 행사에 화상으로 참여해 "미 정부의 발표가 나왔을 때 놀랐다"며 "나는 이러한 고관세를 요구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장을 왜곡하는 조치에 찬성하지 않는다"며 "테슬라는 관세와 특혜 지원 없이도 중국 시장에서 잘 경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머스크는 미국산 전기차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에도 반대한다는 뜻을 표하기도 했다. 
     
    다만 블룸버그통신은 이같은 머스크의 입장이 지난 1월 발언과는 모순이 된다고 지적했다. 
     
    지난 1월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머스크는 "솔직히 말해서 무역 장벽이 세워지지 않는다면 중국 업체들이 전 세계 대부분의 다른 자동차 회사들을 무너뜨릴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테슬라는 이날 공개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인 '임팩트 리포트'에서 "2030년까지 연간 2천만대의 차량을 판매하겠다"는 기존 목표를 삭제했다.
     
    이를 두고 미 언론들은 "머스크가 핵심 전기차 사업보다 자율주행 사업을 우선시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실제 테슬라의 올해 1분기 매출은 1년 전과 비교해 9% 감소했고, 1분기 순이익은 11억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무려 55%나 줄어들었다.
     
    1분기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사이버캡'(CyberCab)으로 지칭하며 "에어비앤비(숙박공유 플랫폼)와 우버(차량호출 플랫폼)의 결합 같은 것으로, 테슬라가 직접 차들을 소유하고 운영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테슬라가 이번 '임팩트 리포트'에서 장기 판매량 목표치를 삭제하면서 주가는 급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는 전장보다 3.54% 내린 173.74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