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대법 "중국법인서 받은 보증수수료는 '기타소득'…과세 정당"

대법 "중국법인서 받은 보증수수료는 '기타소득'…과세 정당"

핵심요약

지급보증 수수료는 이자 소득 아닌 기타소득
대법 "한화솔루션 1억671만원 세액 공제 불가"
1심 원고 패소·2심 원고 승소…대법 파기환송

연합뉴스연합뉴스
국내 법인이 중국 현지법인에 지급보증하고 받은 수수료는 한·중 조세조약에 따른 '이자 소득'이 아닌 '기타소득'으로 세액공제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3일 법조계에 따르면 대법원 3부(주심 이흥구 대법관)는 최근 한화솔루션이 남대문세무서를 상대로 제기한 경정거부처분취소 소송에서 원고승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어떤 소득을 한·중 조세 조약에서 정한 이자라고 보기 위해서는 그 소득은 수취인이 자금을 제공한 것에 대한 대가에 해당해야 한다"며 "지급보증 수수료는 지급보증의 대가일 뿐이므로 이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사건 지급보증 수수료가 그 외 다른 조항에서 취급하는 소득 항목에도 속하지 아니하는 한 결국 한·중 조세조약에 따라 거주지국인 우리나라에만 과세권이 있으므로 중국에 낸 원천징수세액은 외국납부세액 공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한화솔루션은 2014년 중국법인인 한화케미칼 유한공사가 대출을 받을 때 지급보증을 제공한 대가로 10억6710만원의 지급보증수수료를 받았다. 회사 측은 한·조세제약에 따른 이자소득으로 보고 제한 세율 10%를 적용해 정부에 세액 1억671만원을 원천징수 해 납부했다.

한화솔루션은 중국 정부에 이미 세금 일부를 냈으므로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에 따라 이미 낸 법인세에서 그만큼을 환급해달라고 과세 당국에 청구했다.

외국납부세액공제는 외국 법인이 한국에 법인세를 낼 때는 외국에 납부한 만큼을 공제하고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이중과세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세 당국이 해당 수수료가 이자소득이 아닌 기타소득에 해당하고 외국납부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한화솔루션의 청구를 거부하면서 소송으로 이어졌다. 1심 법원은 과세 당국의 손을 들었으나 2심은 한화솔루션 승소로 판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1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