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박근혜 ''폭탄발언''은 MB 진정성 탓…계파 갈등 고조될 듯

박근혜 ''폭탄발언''은 MB 진정성 탓…계파 갈등 고조될 듯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 놓고 찬이-친박 ''파열음''

d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을 둘러싼 친이-친박 간 신경전이 결국 파열음을 빚고 말았다.

박근혜 전 대표가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여권 내에서 쇄신책의 일환으로 유력하게 거론된 ''친박 김무성 원내대표론''은 사실상 물건너갔다.

이번 일로 국정운영과 당 쇄신을 둘러싼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시각차만 확연히 드러낸 셈이어서 향후 정국 운영과정에서 친이-친박 간 갈등도 첨예해질 전망이다.

또 청와대 회동 등을 통해 친이 주류 측의 반대를 무릅쓰고 야심차게 ''김무성 원내대표론''을 추진한 박희태 대표 등 당 지도부도 리더십에 적지않은 상처를 안게 돼 당내 후폭풍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전 대표가 6일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을 공식 반대한 ''샌프란시스코 폭탄발언''은 어느 정도 예견돼 왔다.

박 전 대표는 "(소속 의원들의 투표로 원내대표를 선출하는)당헌·당규를 어겨가면서 그런 식으로 원내대표를 하는 것은 나는 반대라면서 "당 쇄신 문제도 당이 잘해서 국민의 지지를 받아야 한다"고 원칙적인 입장을 밝혔다.

형식상 당헌·당규를 문제삼아 김무성 의원의 원내대표 추대를 반대한 것이다.

하지만 박 전 대표의 발언 이면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불신이 깊이 자리잡고 있다. 친박 진영에서 항상 얘기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진정성 부족''이다.

이와 관련해 친박계의 한 재선 의원은 "지난해 ''박근혜 총리설'' 등 우리가 한 두 번 속은 게 아니어서 이번에도 그 진정성을 선뜻 믿기가 어렵다"고 말해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했다.

친박 허태열 최고위원도 "당직 자리를 줘서 되는 게 아니라 신뢰를 만들 수 있는 문화, 권위를 배분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먼저 정리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전 대표로서는 또 친이, 친박 간 갈등 해소의 대전제인 박 전 대표와 이명박 대통령 간의 신뢰회복이 우선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원내대표 자리에 친박계를 앉히는 것은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특히 박 전 대표는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이 나온 형식 등에 대해서도 내심 불쾌하게 생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 인사 기용에 앞서 자신에게 의사를 타진하는 등 기본 절차를 생략하고 일부 친박 인사와 물밑협상을 통해서 또,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대표가 만나 이 문제를 최종 결정했다는 점에서 박 전 대표의 노여움(?)을 샀다는 것이다. [BestNocut_R]

또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한 친박 진영에서는 주류 쪽이 말로만 친박 포용론을 얘기하며 원내대표를 내주면서도 정작 중요한 국정 운영에서는 친박계를 배제할 것이라는 의구심도 적지 않았다.

설령 원내대표 제안을 수락한다해도 친이-친박 공생''의 시험대에 올라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정치적 부담도 박 전 대표로서는 의식하지 않았을 수 없었을 것이다.

결국 박근혜 전 대표의 이번 폭탄발언은 이명박 대통령과 손을 잡는 대신 당분간 ''마이 웨이'' 행보를 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2007년 당내 대선후보 경선 때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이른 친이-친박 갈등이 2라운드에 접어드는 양상이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고독 死각지대, 고립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