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北 전역 4곳서 '다종 미사일' 2발씩 8발 섞어쏘기…軍 "이례적"

北 전역 4곳서 '다종 미사일' 2발씩 8발 섞어쏘기…軍 "이례적"

핵심요약

핵 항모 동원 한미훈련 끝나자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 무력시위
순안·개천·동창리·함흥 등 북한 전역 4곳에서 각각 2발씩 발사
전술 핵 지향 북한판 이스칸데르·에이태큼스·전술유도탄 '섞어 쏘기'
유사시 동시다발적 공격으로 한미 미사일 방어망 무력화 의도
北 도발 뒤 원인철 합참의장, 라캐머라 연합사령관과 화상회의
"北의 어떤 미사일 도발에도 즉각 탐지 및 요격 능력 확인"

연합뉴스연합뉴스
북한은 5일 무력시위를 하며 평양 순안과 평남 개천, 평북 동창리, 함남 함흥 등 북한 전역 4곳에서 각각 2발씩 다양한 종류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섞어서 총 8발을 발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 당국은 북한이 8발의 다양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일시에 발사한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려운 이례적인 일"이라고 평가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9시 6분경부터 9시 43분까지 35분 동안 평양 순안, 평남 개천, 평북 동창리, 함남 함흥 일대에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평양 순안과 평남 개천, 평북 동창리, 함남 함흥에서 35분 동안 각각 2발의 단거리 미사일을 쏴서 모두 8발을 발사한 것으로 관측된다.  
 
합참은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110km에서 670km, 고도는 약 25km에서 90km, 속도는 약 마하 3에서 6으로 탐지했으며,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합참이 탐지한 비행거리와 고도 등을 감안할 때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북한판 에이태큼스'(KN-24), 신형전술유도무기 등 다양한 종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섞어서 35분 동안 4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사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들 단거리 탄도미사일은 모두 핵탄두를 장착한 전술 핵무기로 개량 중인 미사일들이다. 
 
북한은 지난 달 25일에는 ICBM과 단거리 탄도미사일 등 3발의 미사일을 평양 순안 1곳에서 섞어 쐈는데, 이번에는 북한 전역으로 나눠 전술 핵을 지향하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을 섞어서 쏜 셈이다.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왼쪽)이 5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만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왼쪽)이 5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와 만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
북한이 비슷한 시간대에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을 섞어서 발사한 것은 유사시 북한의 동시 다발적 공격 능력을 향상시키고, 발사 원점을 다양화해서 한미의 탐지 및 요격을 어렵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유사 시 한미의 미사일 방어망을 무력화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은 한미연합훈련에 대응해 지난 2014년 3월 16일 유도 기능이 없는 단거리 미사일을 25발, 22일 46발을 몇 차례로 나눠 동해로 발사한 적이 있으나, 이 때 미사일은 유도 기능이 없는 프로그 계열의 단거리 미사일이었다. 
 
군 관계자는 "프로그(FROG)계열이 아니라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4곳에서 거의 비슷한 시간대에 8발을 쏜 것은 전례가 찾기 어려운 이례적 일"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 2006년 7월 5일에도 미국의 독립기념일에 맞춰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과 함북 화대군 무수단리 등 다수 지역에서 대포동 2호를 포함해 노동 미사일, 스커드급 미사일 등 총 7발의 미사일을 하루 종일 발사한 적이 있다.
 
이 때 대포동 2호 미사일은 공중에서 폭발했으나, 북한은 석 달 뒤인 10월 9일 결국 1차 핵실험을 감행한 바 있다.


원인철 합참의장. 국회사진취재단원인철 합참의장. 국회사진취재단
원인철 합참의장이 이날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라캐머라 연합사령관과 화상회의를 통해 상황을 긴밀히 공유하면서 "북한의 어떠한 미사일 도발에도 즉각 탐지 및 요격할 수 있는 연합 방위 능력과 태세"를 확인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지하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국가안보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 임석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윤석열 대통령이 5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지하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국가안보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 임석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논의 결과를 보고 받고 "북한이 올해만 약 9일에 한 번 꼴로 미사일 발사 도발을 감행했다"고 지적한 뒤, "한·미 미사일 방어훈련을 포함한 한·미 확장억제력과 연합방위태세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과 "상시 대비태세를 확고하게 유지할 것"을 지시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2

0

전체 댓글 6

새로고침
  • NAVERtoto2022-06-06 09:01:17신고

    추천0비추천0

    국민을 불안하게 만드는 이정권. 아무 대책도 없이 맨날 회의한다. 뭐한다. 술, 패션 신발 가방, 용산집무실. 먹방. . . . ..

  • NAVER노세노세2022-06-06 07:22:08신고

    추천0비추천2

    한반도에 잔운이 감돌고 참 착잡허다. 얼마나 더 혼 구녕이 나야 그런 대통령 안 뻡을까 ? 한신한 조선 사람들...

  • KAKAO덕수오2022-06-05 21:49:29신고

    추천0비추천1

    먼저 죄송합니다 용역일하며 사는 40초입니다 인력시장에 일이 없어 모텔월세도 밀려 나와서 숙식일을 알아보고 있는데 정말 쉽지가 않네요 매일 새벽에 일찍 인력시장에 나가도 며칠동안 일을 못나가고 오늘도 나가도 대기만하다 일이 없다고 들어가라 해서 정말 답답하고 제자신이 너무 한심스럽네요 밥은 굶더라도 잘곳만 있으면 가리지않고 이것저것 해서 여관월세라도 구하고 어찌 해볼텐데 고정적으로 잘곳이 없으니 인력일을 못나가면 어찌해야할지 하루하루가 답답만 합니다 핸드폰 발신도 안되니 와이파이되는 건물에서 오전부터 숙식일을 알아봐도 되질않고 살고는 싶은데 제맘대로 되는게 하나도 없네요
    뭐가 문제인건지 내가 하는 일은 왜 이렇게 되는일이 없는지 제가 만든 일이지만 잘곳이 없는게 이렇게 비참하고 힘이든지요
    죄송하지만 지푸라기라도 잡고싶어 하루 찜질방비라도 도움받을 수 있을까해서 부끄럽고 염치없지만 글남깁니다 510446-02-078631우체국 ㅇㄷㅅ입니다 면목없지만 그래도 살고싶

더보기 +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