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안전점검. 서울시 제공서울시설공단이 '아차사고 발굴' 제도를 통해 올 1월부터 6월 초까지 총 148건의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 개선 조치를 마쳤다고 3일 밝혔다.
아차사고는 부주의나 현장 결함으로 사고가 날 뻔했으나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상황을 뜻하는데, 공단은 아주 작은 위험요인이라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직원들의 상시 의견을 받았고 반기 단위로 실효성을 평가해 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설공단이 찾아낸 유해·위험요인은 미끄러짐(32%), 떨어짐(21%), 부딪힘(21%), 차량사고(12%) 순으로 많았다.
특히 고척스카이돔의 지붕 상황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중인 점검로가 지상 45m여서 작업자 추락과 미끄러짐 예방이 필요하다고 보고 발끝막이 판을 설치하는가 하면 보조경기장의 인조잔디와 바닥의 단차를 없앴다.
설비상 결함이나 작업공간 불량 해소와 안전보건표지 추가 부착 등 안전 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안전 전문가와 함께 여름철 대비 도로시설물 안전점검도 실시했다고 시설공단은 밝혔다.
3월부터는 '열린 위험요인 소통센터'를 개설해 사업장내 근로자가 유해‧위험요인을 발견했을 경우에는 SNS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울시설공단 전기성 이사장 직무대행은 "다양한 관점과 시도로 현장을 바라보고 개선점을 찾아 보완하는 중"이라며 "시민과 근로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강화된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