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코스피 저평가 현상…PER·PBR 신흥국 평균보다 낮아

핵심요약

코스피 주가수익비율(PBR), 전년 대비 '반 토막 수준'
"코스피 상장기업 자본총계 늘었지만, 주가는 약세"

연합뉴스연합뉴스
코스피(유가증권시장) 주가수익비율(PER)이 전년 대비 반 토막 수준으로 하락했다. 선진국은 물론 신흥국 평균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코스피 시장이 상대적으로 저평가 됐다는 의미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작년 코스피 상장기업의 순이익과 현재의 주가 수준을 비교한 코스피 PER은 전날 기준 11.1배로 전년(26.0배)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PER은 시가총액을 지배지분 당기순이익 보통주 귀속분으로 나눈 값이다.
 
PER이 이처럼 큰 폭으로 하락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작년 코스피 상장기업의 이익이 전년보다 2.3배 수준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 시가총액은 소폭 감소에 그쳤기 때문이다.
 
작년 말 코스피 상장기업의 순자산과 현재의 주가 수준을 비교한 주가순자산비율(PBR)도 1.1배로, 전년(1.3배) 대비 하락했다. PBR은 시가총액을 지배지분 자본총계로 나눈 값이다. PER과 PBR은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 상태, 높을수록 고평가 상태를 각각 의미한다.
 
거래소는 "PER에 이어 PBR도 하락한 이유는 양호한 실적으로 코스피 상장기업의 자본총계가 증가했음에도 주가는 약세를 시현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코스피의 PER과 PBR은 해외 시장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도 크게 낮았다. 코스피200의 PER은 9.8배로, 23개 선진국 평균 PER(18.4배)의 절반 수준이었다. 뿐만 아니라 24개 신흥국 평균 PER 12.3배보다도 낮았다. 코스피200의 PBR도 1.0배로, 선진국 평균(2.8배)은 물론 신흥국 평균(1.6배)에도 미치지 못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의 전날 기준 PER은 11.65배로, 전년(21.27배) 대비 크게 떨어졌다. 시가총액 상위 50개 종목의 PER을 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142.54배), 에코프로비엠(105.02배), LG에너지솔루션(103.08배)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HMM(2.14배), POSCO홀딩스(3.36배) 등은 낮았다. 업종별 PER은 헬스케어(54.81배)와 유틸리티(36.29배)가 상대적으로 고평가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3

새로고침
  • NAVER마징가2022-03-05 13:23:07신고

    추천0비추천32

    각종 커뮤니티에서 사전출구조사 민주당 압승이라는 글쓰는 놈들은 선거법 위반으로 조사 해야합니다.

  • NAVER수리2022-03-05 12:55:33신고

    추천0비추천1

    배종찬 돼지는 대가리털이 왜 저런거야.. 젊은놈이 김정은처럼 돼지 대가리털을 이상하게 하고 다니네..

  • NAVER제왕의검2022-03-05 09:38:42신고

    추천41비추천0

    척척석사는 좀 뻬세요!!!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