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통합당, 보수정당史 최악의 참패



국회/정당

    통합당, 보수정당史 최악의 참패

    지역구 '100석 미만', '3당 합당' 이후 28년만 처음
    황교안 "총선 패배 책임, 사퇴"…당권 승계, 심재철 낙선 '무주공산'
    선진화법 무력화 등 교섭능력 상실 '국회에서 할 수 있는 것 없는 정당'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 비례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원유철 대표 등이 제21대 총선일인 15일 국회 도서관 강당에서 개표방송을 시청하던 중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에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15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은 최악의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국회의원 정수가 300석 안팎이 된 이후 지역구 당선의석이 100석이 채 안 된 적은 사상 처음이다.

    보수 통합, 신당 창당 등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려 했지만, 유권자들은 변화된 모습으로 받아들이지 않은 결과로 풀이된다. 당장 지도부 공백 사태가 불가피해졌고, 향후 어떤 후폭풍을 맞게 될지 가늠조차 할 수 없는 지경이다.

    황교안 대표는 15일 "당이 국민께 믿음을 드리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모두 대표인 저의 불찰이다. 모든 책임은 제가 지고 가겠다"며 당직에서 사퇴했다. 서울 종로 지역에서 낙선했고, 전체적인 총선 결과 참패한 책임이다. 이날은 황 전 대표의 생일이었다.

    통합당은 비록 원내에선 제2당의 위치이지만, 심리적인 마지노선으로 인식됐던 '지역구+비례대표' 의석수 합산 120석 당선에 실패함에 따라 사실상 '식물정당'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 기록적 패배…朴 탄핵 후 '4연패', 盧 탄핵 직후보다 '저조'

    통합당의 대패는 서울 등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몰락한 결과다. 전체 의석의 절반 이상을 '텃밭'인 영남권에서 겨우 채웠다. 전체 49개 의석이 걸린 서울에서 두 자릿수 당선에 실패했다. 인천, 대전 등지에선 몰살에 가깝게 거의 전원 낙선했다.

    정작 체면을 구긴 것은 보수정당 역사상 최약체로 기록되게 됐기 때문이다. 1990년 '3당 합당' 직후 의석수가 299석으로 늘어났던 1992년 14대 총선 이후 보수당이 지역구에서 100석 미만으로 당선된 것은 처음이다.

    이전까지 최악의 성적은 지난 2004년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받은 121석으로 이때 지역구에선 100석 당선됐었다. 노무현 당시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안 처리의 역풍을 거세게 맞아 이른바 '탄돌이'의 대거 등원을 허락했던 때보다 못한 결과인 셈이다.

    보수정당이 선거에서 연달아 4연패한 것도 전례가 없던 일이다. 2016년 20대 총선 패배,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대선 패배와 2018년 지방선거에 이어 또 다시 패했다.

    미래통합당 황교안 총괄선대위원장이 15일 오후 국회도서관 선거상황실에서 총선 결과 관련, 당대표직 사퇴를 밝힌 뒤 상황실을 떠나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

     

    ◇ 당장 오늘부터 '지도부 공백'…아노미 불가피

    황 전 대표가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기 때문에 당권 공백 사태가 시작됐다. 당헌·당규에 따라 심재철 원내대표가 물려받게 돼 있지만, 심 원내대표 역시 낙선했다. 때문에 이번 총선에서 당선된 조경태 의원이 전 전당대회 차점 성적의 최고위원으로서 당권을 물려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의 전신인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이 '전당대회 실시'를 합의했고 합당했기 때문에 절차상으론 5월 중에 당 대표와 원내대표 등이 새롭게 선출될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당의 간판급 인사들이 대거 낙선했다는 점이다. 오세훈·나경원 등이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 반면 중량감 있는 당선자 중 홍준표, 김태호 등은 무소속 신분이다. 중진 중에선 주호영(대구 수성갑), 정진석(충남 공주·부여·청양) 등이 5선에 당선됨에 따라 당권을 노려볼 수 있다.

    15일 오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미래통합당 개표상황실에 종합 상황판이 설치돼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

     

    ◇ 식물정당 기준 '120석' 붕괴, 겨우 '개헌저지선' 확보

    당초 통합당의 열세가 점쳐지면서 물러날 수 없는 마지노선으로 제기됐던 기준은 120석과 100석이었다.

    120석은 반대진영의 180석, 100석은 200석을 각각 의미한다. 범여권이 180석을 확보하면 국회선진화법의 무력화되고, 200석을 확보하면 개헌에 나설 수 있다.

    통합당의 성적은 두 기준의 가운데에 해당한다. 가까스로 개헌저지선을 확보했지만, 110석 안팎에 그침에 따라 민주당이 마음먹은 법안 처리, 국회 임명동의가 필요한 인사의 임명 등을 막을 도리가 없어 원내 교섭능력을 상실한 사실상의 '식물 정당' 지경에 처하게 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