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창원형 BRT는 어떤 모습?…창원시 용역 착수



경남

    창원형 BRT는 어떤 모습?…창원시 용역 착수

    창원형 BRT 도입 검토 구간.(사진=창원시 제공)

     

    허성무 창원시장의 공약인 BRT(간선급행버스체계)가 본격 추진된다. 창원시가 BRT 도입을 위해 용역에 착수했다.

    창원시는 지난 13일 시청에서 교통 전문가와 창원시의원, 경남도·창원시 관계자, 경찰 등이 참석한 가운데 ‘창원시 간선급행버스체계 기본구상 및 개발계획 수립 용역’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BRT는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해 급행버스를 달리게 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승강장이 도로 가운데 교통섬 형태로 설치돼 급행버스가 막힘 없이 달릴 수 있다.

    버스운행 속도가 빨라져 통행시간이 단축되고, 따라서 이용객도 크게 증가한다. 무엇보다 도시철도보다 공사비가 훨씬 적게 드는 저비용 고효율 시스템이다. 지하철은 1km 당 1300~1500억원의 공사비가 드는데 비해, BRT는 기존 도로를 활용해 1km 당 20~40억원에 불과하다. 공사기간도 BRT는 1~2년 안에 끝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세계 170개도시와 국내에서도 서울과 부산, 대전, 세종, 고양시 등 10곳이 이미 운영중이다. 3기 신도시에는 S-BRT가 추진된다.

    창원에서는 일단 마산 육호광장∼마산역∼창원역∼도계광장∼시청∼가음정사거리를 연결하는 18㎞구간에서 추진된다. 왕복 6~8차선으로, 버스 노선은 물론 이용객 수도 가장 많은 구간이다.

    유형은 정시성이 가장 높은, 중앙버스전용차로로, 도로 1차로에 간선버스가 운행하는 형태다. 여기에 도시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첨단기능을 갖춘 정류장과 BRT 전용 친환경 버스도 도입된다.

    뿐만 아니라, 이후 트램과 경전철도 BRT 구간에 투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BRT 도입 시 대중교통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트램 등 경전철(LRT) 수단으로 전환이 가능한 시설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산은 5백억원 정도가 예상되는 총사업비의 절반을 국비지원을 받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내년 5월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해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2021년까지 끝내고 공사에 들어가 2023년 개통한다는 구상이다.
    창원시는 지난 13일 시청에서 ‘창원시 간선급행버스체계 기본구상 및 개발계획 수립 용역’에 대한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사진=창원시 제공)

     

    하지만, 문제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 기존 버스전용차로의 기능상실과 중앙전용차로 설치로 일부 구간에서 극심한 교통 혼잡이 예상된다.

    또, 정류장까지 건너가는 보행자에 대한 안전성과 편리성을 갖춰야 하고, 좌회전과 유턴처리방안, BRT 구간이 끝난 지점에서 2, 3차로로 차선 변경이 이뤄지는 버스의 교통체계도 보완이 필요하다. 교통 소통 측면에서 승용차의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요구된다.

    이밖에 중앙녹지대와 자전거도로 등 기존시설 유지방안도 고민해야 할 부분이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창원형 BRT'를 구축한다는 게 창원시의 목표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대중교통은 시민 생활과 직결되는 만큼 시민들과 직접 소통하며 체감할 수 있는 계획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역 특성이 잘 반영된 ‘창원형 BRT’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교통 전문가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자문과 협조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앞서 창원시는 창원시는 2014년 초까지 신교통수단으로 도시철도(트램) 도입을 검토했지만, 당시 창원시의 노면전차 도입 구상은 6500억여 원에 달하는 막대한 사업비 부담과 매년 300억 원 이상의 운영비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단됐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