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대학생 정신건강 위험, 심리상담 국가 지원 전무



교육

    대학생 정신건강 위험, 심리상담 국가 지원 전무

    고교에서 넘어온 정신질환자마저 체계적 지원 안 돼
    대교협,심리상담에 연간 150억원 지원 요청

    (사진=자료사진)

     

    대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는 위험 수준이지만, 심리상담에 대한 국가 지원은 전무한 실정이다.

    올해 3월 전국대학생 2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대학생의 불안 정도는 고위험수준이 40%, 잠재적 위험 수준이 30%로 나왔다. 잠재적 위험군까지 포함하면 70% 학생이 불안을 호소했다.

    또, 2600명 중 자살 시도 경험이 1.6%인데 이 수치는 전체 국민 자살시도율 0.8%의 두배이다.

    그러나 청소년 상담과 관련해 국가에서 고교까지만 지원하고, 대학생 정신상담에 대한 국가적 지원은 뚝 끊긴 상태이다.

    이러다보니 고교에서 넘어온 정신질환자마저도 대학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대학에 심리상담센터라고 이름만 걸어놓고 양성평등, 인권, 취업 등의 상담을 하는가 하면 있던 센터가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화여대 학생상담센터 오혜영 교수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관련해 전문가가 상주하면서 정신건강과 관련된 안전망이라든지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인력과 센터가 필요한데, 불안정하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

    대학내 정신건강상담 전문인력 확보와 이들에 대한 처우 개선, 인력과 예산 지원을 규정한 법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대학생 1만명당 정신건강 전문가 스태프 20명 이상 배치되어 있고, 학생 9000명에 박사급 26명을 배치한 곳도 있다고 한다.

    이화여대 오혜영 교수는 "저희가 국내대학에서 잘 갖춰진 대학이라고 하지만, 전담인력이 행정인력까지 합해 11명이다. 내년에 사업이 종료된 게 있어 8명으로 줄어들 예정이다.올해 말까지 예약이 다 차 있어 수요는 넘쳐나는데 상담인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수요에 맞춰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호소했다.

    오 교수는 이어 "자격있는 전문가에게 충분한 처우를 해줘야 하는데 열정 페이로 급여수준을 정해놓고 뽑기 때문에 좋은 전문가를 모시기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대학교육협의회는 최근 국회 교육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대학상담센터가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간 150억원 규모의 예산 지원을 건의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