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구의회. (사진=자료사진)
부산 해운대구의회의 한 의원이 자신의 대학 강의를 준비하는 데 의회 예산으로 구매한 사무용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해당 의원은 의혹을 전면 부인했지만, 해운대구의회가 공사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구설은 비단 이번뿐만이 아니어서 내부 자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해운대구의원 A씨는 지난 2015년부터 부산의 한 대학에서 겸임 교수로 활동 중이다.
일주일에 이틀가량 교단에 나서 교양 수업을 강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의원 등이 대학 강의에 나서는 일은 흔하지만, 최근 구청에서는 A의원에 대한 뒷말이 나오기 시작했다.
A의원이 많은 양의 강의자료를 의회 비품으로 준비한다는 내용이었다.
해운대구 관계자들은 A의원이 의원 지난해 사무실에 별도로 설치한 프린터로 강의자료를 만드는 등 의회 사무기기를 개인 용도로 사용한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에는 의회 사무국 차원에서 이 같은 행동을 자제해달라는 요청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A의원은 강의자료 준비 등에 의회 비품이나 기기를 사용한 적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A의원은 "강의에는 많은 자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대량의 강의자료를 만들 이유가 없다"며 "의회 용품이나 기기를 이용해 개인적인 강의를 준비한 적은 전혀 없다"고반박했다.
이어 A의원은 "최근 구정 활동 중 하나로 대량의 주민 설문지를 의회에서 직접 만든 적이 있다"며 "이 때문에 다소 오해가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해운대구의회가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달 해운대공무원 노조는 일부 구의원이 개인적인 감정을 앞세워 구정 자료 수천 장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며 반발한 바 있다.
노조는 불필요한 지시 때문에 행정 업무를 볼 수 없다며 구의회를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결국 이 같은 구의원들이 이처럼 책임감 없는 행동을 반복하면서 기초의원 자질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