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
국내에 유통되는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의 상당수가 제대로된 성능수준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유료 107종, 무료 15종 등 모두 122종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08년 상반기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상당수 제거 프로그램의 성능과 설치과정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00개의 주요 스파이웨어 샘플을 이용한 성능 시험에서 10%(150개) 이상을 진단한 프로그램이 26종, 21%에 불과했고 150개 미만을 진단한 프로그램이 85종, 69%에 이르렀다. 또, 나머지 11종(9%)는 프로그램 실행오류 등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해 많은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들이 단순 파일명이나 레지스트리명 검색 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스파이웨어의 파일명이나 설치 폴더가 바뀌면 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이 밖에, 설치시 추가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프로그램이 10종, 설치시 이용약관이 미비한 프로그램 38종, 탐지된 스파이웨어가 완벽히 제거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37종 등으로 나타났다.
[BestNocut_R]방송통신위원회는 조사결과 이용약관 미비 등 62종에 대해서는 한국소비자원 등 관련 기관에 조치를 요청하였고, 설치시 명시적인 동의 절차가 없는 25종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계도조치를 할 계획이다.
한편 성능시험에서 상위 10%를 기록한 12개 제품은 가나다 순으로 네이버툴바, 노애드, 다음툴바(안철수연구소 빛자루), 라이브콜, 메가닥터, 바이러스체이서, 알약, 야후툴바, AD-Spider, nProtect, PC닥터, PC지기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