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5.18 공식명칭에 '광주' 들어가야 한다

전남대 최영태교수 논문에서 명칭에 대한 심도있는 학술적 논의 필요 지적

5.18 민주화운동 (사진=5.18 기념재단 제공/자료사진)

 

'5·18'의 공식 명칭에 '광주'라는 지명은 반드시 들어가야 하며 '5.18항쟁'의 명칭에 대한 심도 있는 학술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대학교 최영태(사학과) 교수는 최근 발행된 '민주주의와 인권' 15권 3호(2015년 12월, 전남대 5·18연구소 刊)에 기고한 '5·18항쟁의 명칭문제'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5·18을 '5·18광주민주화운동' 또는 '5·18광주항쟁'으로 부르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했다.

최교수는 논문에서 "전국화라는 명분 때문에 5·18의 공식 명칭을 광주가 빠진 '5·18민주화운동'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정치적 고려가 너무 크게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또 "역사적 사건의 명칭을 정할 때는 역사적 사건의 지역적 범위가 한정되었거나, 특정 지역의 역할이 두드러진 사건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건 명칭에 지역명이 들어간다”고 밝혔다.

특히 "5·18은 20세기 후반 지구상에서 일어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이자 아시아 등 다른 국가의 민주화운동에 영향을 끼친 사건이라는 측면에서 전국화 못지않게 '세계화'의 대상"이라며 "따라서 역사적 사건 명칭의 일반적 경향성과 세계사적 측면을 고려하더라도, 5·18 명칭에 '광주'라는 지역명이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최교수는 "'6.4천안문사건'이 그냥 '6.4사건'이라고 불렸을 때, '파리콤뮌'이 '3·18콤뮌'이라고 불렸을 때 우리 국민들이 이 사건들을 얼마나 기억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며, 세계화 차원에서 5·18의 명칭문제를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5·18의 명칭에서 '광주'라는 지명을 제외시킨 결정의 적절성 여부, '민중항쟁'이라는 성격규정을 명칭에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적절한지 여부에 대해 학술적 차원의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