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재벌과 대기업 독점 구조를 강력히 비판하며 ''동반성장 연구소''를 출범시켰다. 그는 "동반성장을 위해서라면 주어진 역할을 마다하지 않겠다''며 사실상 잠재적 대권 후보로서의 행보를 본격화하고 나섰다.
정운찬 전 총리는 19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동반성장연구소'' 창립 대회사를 통해 "오늘의 대한민국은 기업과 노동자들이 함께 땀 흘려 이룩한 결과인데도 1%도 안되는 재벌들의 부가 쌓여가는 동안 산업역군들은 다시 빈곤층으로 전락하거나 가난을 대물림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1%와 99%의 사람들이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서는 동반성장 체제로 국가 시스템을 개조해야 한다"며 "재벌 공화국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나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전 총리는 특히 "대기업만이 나라를 일으킨다는 개발독재적 사고가 여전히 우리 사회를 덮고 있다"며 "소통이 부정되었던 시대의 악몽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시대의 흐름을 거슬러 역사를 뒷걸음질치게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사실상 새누리당과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겨냥한 내용으로 읽힌다.
정 전 총리는 "동반성장은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믿음을 되찾는 일이며 ▲중소기업의 성장기반을 넓히고 일자리를 늘려 양극화를 해소하는 경제성장의 선순환 시스템이고 ▲생산적 복지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정 전 총리는 "지난 몇년간 민주주의가 후퇴했다는 지적도 있고, 진보정치를 내걸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개탄스러운 일도 벌어졌다"며 현 정치권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많은 사람들이 경제민주화를 말하고 있지만 대기업의 독점과 독식을 내버려둔 채 경제민주화를 이룰 수 없다"며 "지금 국민에게 필요한 것은 정쟁과 이념 논쟁이 아니라 먹고사는 문제의 해결"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정 전 총리는 "동반성장을 위해서라면 제게 주어진 역할을 마다하지 않겠다"며 "뜻을 같이한다면 누구라도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정운천 전 총리의 싱크탱크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는 ''동반성장 연구소''에는 조순 전 경제부총리를 비롯해 김지하 시인 등 각계각층 160여명이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새누리당 김성태, 민주통합당 김영환, 통합진보당 노회찬 의원 등 현역 국회의원들도 이름을 올려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