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ㅇ
스티브 잡스를 데려간 췌장암은 암 중에서도 가장 독한 암으로 불리는 무서운 암이다.
올해 노벨 의학상 공동 수상자인 랠프 슈타인먼도 수상발표 사흘전인 지난달 30일 췌장암으로 숨졌다.
췌장암은 국내에서 아홉 번째로 많이 생기며 5년 생존율은 7.6%에 불과하다. 치료해도 2년 안에 재발하는 비율이 80% 이상일 만큼 예후가 좋지 않다.
초기 증상이 거의 없어 나중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다른 어떤 암보다도 조기진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암이 상당히 커질 때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고, 특히 췌장은 위 뒤에 숨어서 몸통 깊숙이 위치하기 때문에 엑스레이나 복부초음파 검사 등으로 암을 찾아내기가 어렵다.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중요한 장기다. 췌장암이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뤄진 종괴(종양덩어리)를 말한다. 췌관세포에서 발생한 췌관 선암종이 90% 정도를 차지,일반적으로 췌장암으로 불린다. 그 외에 낭종성암(낭선암), 내분비종양 등이 있다.
췌장암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진게 없고 암 전 단계의 병변 역시 뚜렷하지 않다.[BestNocut_R]
췌장암이 발생하기 쉬운 요인에는 ▷45세 이상 연령 ▷흡연 경력 ▷두경부나 폐 및 방광암의 과거력 ▷오래된 당뇨병 ▷지방이 많은 음식 섭취 등이 있다. 환자의 5~10%에서 유전 소인도 나타난다.
췌장암의 증상은 비특이적이다. 복통, 식욕부진, 체중감소, 황달 등이 가장 흔하다. 췌두부암 환자의 대부분에서 황달이 발생한다. 대변과 배변습관의 변화와 구토,오심, 쇠약감, 식욕부진 등도 잦게 나타난다. 90% 이상의 환자들이 복부 통증을 느끼지만 그냥 지나치기 쉽다.
췌장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완전한 외과적인 절제지만 이에 해당하는 환자는 20~25% 정도에 불과하다. 외과적인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약 6개월로 알려져있다.
2003년 10월 췌장암 판정을 받은 잡스는 2004년 8월 성공적인 외과수술로 종양을 절개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그의 건강은 계속 악화됐고 2009년 6월에는 간 이식까지 받았다.
한국인도 유독 췌장암의 생존율이 낮아지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주요 암의 5년 상대생존율 추이'' 자료에 따르면 암 관련 통계를 시작한 1993년의 주요 암 5년 생존율은 41.2%에서 2008년에 59.5%로 증가한 반면 췌장암은 같은 기간 9.4%에서 7.6%로 감소했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김명환 교수는 ''''잡스의 경우 간이식을 받았지만, 췌장암이 간으로 재전이돼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됐다''''며 ''''간암의 경우 간이식을 통해 완전한 치료가 될 수 있겠지만, 췌장암에서 간으로 암이 전이된 경우, 간이식은 일시적인 치료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