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시사칼럼]"전직 총리들의 무더기 출마설을 경계한다"

LIVE

[시사칼럼]"전직 총리들의 무더기 출마설을 경계한다"

adf

 

4.27 재보궐선거가 다가오면서 정치권이 승리 방정식을 찾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이번 재보궐선거는 이명박 정부에서의 마지막 재보궐선거로 내년 총선 대통령선거의 전초전으로 여겨지고 있다.

때문에 승리를 가져올 수 있는 인물찾기에 여야가 사활을 걸고 있다.

이와관련해, 최근 여권에서 한승수, 정운찬 전 총리와 총리 후보자를 지낸 김태호 전 경남지사 출마설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전직 총리를 지낸 비중있는 인물이 국회로 들어가 정부를 뒷받침하고 정치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나, 여당이 승산이 높다는 이유만으로 총리 반열에 올랐던 인사들로 이른바 ''''총리급 벨트''''를 형성해 무더기로 선거판에 나선다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지 성찰해볼 일이다.

행정부의 한 축을 맡았던 총리 출신 인사가 국정의 감시자이자 견제자였던 입법부로 줄줄이 달려가는 모습은 좋지 않은 사례가 될 수 있다.

한승수 전 총리의 경우, 현 정부 초대 총리로 국정의 기초를 닦았던 인물이다.

정운찬 전 총리의 경우 온나라를 시끄럽게했던 세종시 논란의 당사자였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여당 최고위원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세종시 문제로 문책을 받았던 인사가 불과 1년도 안돼 국회로 말을 갈아타는 경우이다.

더구나, 최근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 문제가 제2의 세종시 사태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는 와중에 논란의 당사자인 정운찬 전 총리를 다시 정치권에 등장시킬 경우 정쟁이 재발할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또, 김태호 전 총리 후보자는 자질에 문제가 돼 청문회 문턱도 넘지 못한 인물이다.

그런 인사를 공천하기 위해 애쓰는 것은 집권여당의 도덕적 해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특히, 이들 총리급 인사를 3명이나 한꺼번에 선거에 차출할 경우 4.27 재보궐선거가 현정부에 대한 재평가나 정치적 심판이라는 정치적 의미가 과도하게 주어질까 우려된다.

이럴 경우, 지역구 주민들은 뒷전에 밀려나고 과도한 정치적 구호만 난무할 것이다.

이는, 처음에 뽑았던 지역일꾼을 잃은 지역구 주민들에게 다시 한번 상처를 주는 일이다.

재보궐선거는 잘못된 선거를 바로 잡는다는 취지가 존중되야 한다.

따라서, 지역 주민은 안중에도 없이 연고도 없는 인물을 공천하거나 정치적 몸무게 만으로 후보를 공천하는 것은 승리지상주의에 매몰된 국민경시라 할 수 있다.

집권여당이 4.27 재보궐선거에 대한 과도한 정치적 의미를 경계하면서도 고도의 정치적 접근으로 선거에 임하는 자기모순에 빠져서는 안된다.

집권여당은 이번 재보궐선거의 의미를 존중해 지역주민은 물론 국민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공천으로 선거에 임하기를 바란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