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컨벤션센터(CECO) 개관 이후 활성화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12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시컨벤션산업을 통한 지역경제활성화 방안'' 심포지엄에서는 여러 가지 활성화 모델이 제시됐다.
경남발전연구원 김영표 박사는 창원컨벤션센터 설립과 운영으로 올해까지 1천 4백 28억여원의 생산유발효과와 800억여원의 부가가치유발효과, 383억여원의 소득유발효과, 1천 7백여명의 고용유발효과가 각각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남대 조상희 교수는 창원컨벤션센터가 발전되기 위해서는 교통과 환경, 관광, 비즈니스 등과 같은 인프라 확충과 마케팅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나선 동의대 박봉규 교수는 창원의 도시 브랜드를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도시라는 특징 외에 다양한 특성을 복합적으로 내세우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컨벤션뷰로의 구성에 있어 전시컨벤션유치 뿐만아니라 도시 브랜드 마케팅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폭넓게 구성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영산대 박대환 교수는 흑자실현을 위해서는 창원컨벤션센터가 지역 기업의 산업을 잇는 네크워크 역할을 충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EX 박종천 전무이사는 창원컨벤션센터가 실질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특화 전시회 발굴과 육성에 힘써야 한다고 언급했다.
CBS경남방송 송봉준기자 bjsong@c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