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4대강 재자연화(rewilding)와 관련해 "우리가 가야할 당연한 방향"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9일 국회 등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전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된 국무위원후보자 인사청문회 요구자료 중 '4대강 보 해체 및 재자연화 추진 관련 입장'을 묻는 국민의힘 조지연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김 후보자는 "강은 흘러야 한다는 것이 제 소신"이라면서도 "그 과정에서 물 공급 문제, 지역 공감대 형성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며 속도감 있는 재자연화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녹조 문제에 대해서는 "낙동강은 본류 전체를 상수원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먹는물 안전 확보 차원에서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4대강 재자연화 및 오염원 관리와 함께 먹는물 안전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지역과 협의해 검토·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4대강 재자연화는 이명박 정부 시기(2008~2012)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설치한 총 16개의 보를 해체 또는 개방하는 구상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금강 세종보 해체·공주보 부분 해체·백제보 상시 개방 및 영산강 승촌보 상시 개방·죽산보 해체를 심의·의결했다.
이후 해당 5개 보의 상시개방이 이뤄졌지만, 보 해체는 윤석열 정부 들어 취소돼 실행되지 않았다.
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기간 발표한 정책공약을 통해 △금강 및 영산강 보 해체 결정 취소 원상태로 회복 △낙동강 등 4대강 보 전면개방과 취·양수장 위치 개선 사업 신속 추진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아울러,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4대강 유입 산단 폐수 오염물질 대폭 차단을 추진하고, 수질측정센터를 4대강 전체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새 정부 취임 이후 4대강 재자연화가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날 이뤄진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사회2분과 소속 위원들과 수자원 및 물환경 분야 전문가 간담회에서는 '보 개방 확대 및 취양수장 개선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또 녹조의 경우 '물 흐름 개선 및 관리기준과 모니터링 강화'가 논의됐다.
한편 이 대통령과 민주당은 '홍수와 가뭄에 도움이 안 되고 지역주민도 원치 않는 신규댐 설치 추진 폐기'도 공약,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기후대응댐 폐기 구상도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김 후보자는 "신규댐은 홍수·가뭄 예방 효과 및 지역 주민간 찬반 논란이 있으므로 정밀 재검토를 거쳐 합리적인 방향을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 정부에서 시행한 환경정책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해 개념설계가 잘못된 정책이 있다면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에 대한 국회 환노위 인사청문회는 오는 15일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