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환경장관 후보자 "4대강 재자연화, 가야 할 당연한 방향"

환경장관 후보자 "4대강 재자연화, 가야 할 당연한 방향"

김성환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 서면 질의 답변

尹기후대응댐 겨냥, "신규댐 정밀 재검토" 입장도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4대강 재자연화(rewilding)와 관련해 "우리가 가야할 당연한 방향"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9일 국회 등에 따르면 김 후보자는 전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제출된 국무위원후보자 인사청문회 요구자료 중 '4대강 보 해체 및 재자연화 추진 관련 입장'을 묻는 국민의힘 조지연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김 후보자는 "강은 흘러야 한다는 것이 제 소신"이라면서도 "그 과정에서 물 공급 문제, 지역 공감대 형성은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며 속도감 있는 재자연화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녹조 문제에 대해서는 "낙동강은 본류 전체를 상수원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먹는물 안전 확보 차원에서 해결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4대강 재자연화 및 오염원 관리와 함께 먹는물 안전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지역과 협의해 검토·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4대강 재자연화는 이명박 정부 시기(2008~2012)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설치한 총 16개의 보를 해체 또는 개방하는 구상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금강 세종보 해체·공주보 부분 해체·백제보 상시 개방 및 영산강 승촌보 상시 개방·죽산보 해체를 심의·의결했다.

이후 해당 5개 보의 상시개방이 이뤄졌지만, 보 해체는 윤석열 정부 들어 취소돼 실행되지 않았다.  

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기간 발표한 정책공약을 통해 △금강 및 영산강 보 해체 결정 취소 원상태로 회복 △낙동강 등 4대강 보 전면개방과 취·양수장 위치 개선 사업 신속 추진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아울러,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 4대강 유입 산단 폐수 오염물질 대폭 차단을 추진하고, 수질측정센터를 4대강 전체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새 정부 취임 이후 4대강 재자연화가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날 이뤄진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사회2분과 소속 위원들과 수자원 및 물환경 분야 전문가 간담회에서는 '보 개방 확대 및 취양수장 개선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또 녹조의 경우 '물 흐름 개선 및 관리기준과 모니터링 강화'가 논의됐다.  

한편 이 대통령과 민주당은 '홍수와 가뭄에 도움이 안 되고 지역주민도 원치 않는 신규댐 설치 추진 폐기'도 공약,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기후대응댐 폐기 구상도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김 후보자는 "신규댐은 홍수·가뭄 예방 효과 및 지역 주민간 찬반 논란이 있으므로 정밀 재검토를 거쳐 합리적인 방향을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 정부에서 시행한 환경정책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해 개념설계가 잘못된 정책이 있다면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에 대한 국회 환노위 인사청문회는 오는 15일 열린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