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가 밀양 미래첨단 소재·부품 등 4곳을 기회발전특구로 정부에 신청한다.
도는 23일 지방시대위원회를 열고 기회발전특구 3차 계획 4개 지구와 지역균형발전 개발 계획 변경안을 의결했다.
도는 밀양 미래첨단 소재·부품지구, 하동 이차전지 모빌리티 소재지구, 창녕 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지구, 사천 AI첨단산업·웰니스산업 지구 등 4곳을 기회발전특구로 지정하려 한다.
밀양 미래첨단 소재·부품지구는 한국카본·스페이스프로·보광 등 13개의 기업이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 2797억 원을 투자해 나노기술을 활용한 복합소재·방산소재․부품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하동 이차전지모빌리티 소재지구는 대송산업단지에 앨앤에프 등 6개의 기업이 8482억 원을 투자해 수산화리튬 공장, 이차전지 핵심광물 추출 공장 등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앨앤에프는 이차전지 양극재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세계적인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핵심 공급업체다.
창녕 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지구는 대합·영남일반산업단지에 유림테크·세아항공방산 등 17개 기업이 4485억 원을 투자한다. 전기자동차·항공기 등 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을 제작할 계획이다.
사천 AI첨단산업·웰니스산업지구는 사천IC복합유통상업단지에 태왕디엔디 등 8개 기업이 AI 데이터센터 신축 등을 위해 1조 6670억 원을 투자한다. 남일대 유원지에 터루 등 2개 기업이 관광휴양형 리조트 신축 등에 5050억 원도 투자한다.
도는 이번 3차 기회발전특구에 4곳이 모두 지정되면 최대 신청 면적인 660만㎡를 모두 채우게 된다.
경남은 현재 고성 해상풍력분야 양촌·용정지구, 통영 관광·창원 미래 모빌리티 지구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