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소버린 AI' 고삐 쥐는 네이버, AI 경량 모델 오픈소스 공개

'소버린 AI' 고삐 쥐는 네이버, AI 경량 모델 오픈소스 공개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X' 경량 모델 3종 오픈소스 공개
다른 기업들 무료로 상업적 이용 가능해져
플래그십 모델 역량 강화…텍스트·이미지·영상 이해도 심층학습
국내 기업들 최초로 상업용 오픈…AI 생태계 주도권
자체 역량 강조하는 네이버 '소버린 AI'…해외 저변 확대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삼동 네이버 스퀘어에서 '하이퍼클로바 X 시드'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제공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삼동 네이버 스퀘어에서 '하이퍼클로바 X 시드'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제공
네이버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을 다른 기업에서도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AI 생태계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목표로 네이버 '소버린(Sovereign·주권) AI'에 다시 한 번 방점이 찍혔다.
 

네이버, 경량 모델 3종 "기술문 열었다"

HyperCLOVA X SEED 로고. 네이버클라우드 제공HyperCLOVA X SEED 로고. 네이버클라우드 제공
네이버는 23일 오전 서울 역삼 네이버 스퀘어에서 개발 완료된 하이퍼클로바 X의 경량 모델 '하이퍼클로바 X 시드(HyperCLOVA X SEED)'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네이버가 공개한 3종 모델은 파라미터(매개변수) 크기에 따라 △HyperCLOVA X SEED 3B △HyperCLOVA X SEED 1.5B △HyperCLOVA X SEED 0.5B로 나뉜다. 세 모델은 상업 목적으로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공개됐다.
 
가장 많은 매개 변수가 있는 '하이퍼클로바 X 시드 3B'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모델이다. 한국어·한국문화와 영어 관련 시각 정보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9개 벤치마크의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사 규모의 미국・중국 빅테크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초경량 모델인 '하이퍼클로바 X 시드 1.5B'와 '하이퍼클로바 X 시드 0.5B'도 서비스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퍼클로바 X 시드 0.5B'는 모바일은 물론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도 구동될 수 있다.
 
동시에 네이버는 초거대 언어모델인 '하이퍼클로바 X'를 두고 텍스트를 넘어 이미지와 발화, 소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리가 물가에서 부리를 물속에 집어넣는 영상을 보여주고 AI 모델에 "오리가 무엇을 하고 있냐"고 물어봤을 때 적절한 대답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식이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을 상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다.
 

'AI 주도권' 강조하는 소버린 AI '바짝'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와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이 23일 서울 역삼동 네이버 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네이버클라우드 제공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와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이 23일 서울 역삼동 네이버 스퀘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네이버클라우드 제공하이퍼클로바 X 경량 모델을 국내 기업 최초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네이버는 다시 한번 '소버린 AI'를 강조했다.
 
상업적으로 오픈소스로 공개된 만큼 비용 부담이나 라이선스 제한 등의 문제로 생성형 AI 도입이 어려웠던 중·소규모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국내 AI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네이버 측 설명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오픈소스를 통해 창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사업 기회나 협력이 될 수도 있고, 비즈니스가 될 수도 있다"며 "원론적이지만 파이가 커지면 같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이 많아진다"고 말했다.
 
김 대표도 AI 생태계 활성화를 강조했다. 김 대표는"하이퍼클로바 X 시드 모델은 네이버 서비스를 위해서 만든 기술이지만 우리나라 전체 AI 생태계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싶어서 공개를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대표는 "소버린 AI는 모델을 지속적으로 만드는 기술적 기반과 사업적 기반이 마련돼 있어야 한다"며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역량,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와 하이퍼클로바 X(모델)를 만드는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네이버는 최근 리벨리온과 사우디아라비아 '소버린 AI' 구축을 위한 사업 협력 업무협약을 맺는 등 국외에서도 '소버린 AI'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네이버는 향후 MENA(중동·북아프리카)와 아시아 지역에서도 저변을 지속해서 확장할 계획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