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제공산업통상자원부와 코트라는 "지난 2월 18일 발표한 '범부처 비상수출대책' 일환으로 운영 중인 관세 애로 접수 통합 창구 '관세 대응 119'를 통해 지난 18일까지 두 달 만에 총 3022건의 관세 상담 문의가 접수됐다"고 22일 밝혔다.
상담 내역을 보면 관세 관련 문의가 68%로 압도적이었다. 그밖에 대체 시장 진출 문의 7%, 생산 거점 이전 문의 4%, 기타(인증, 규격 등) 문의 21%였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기업들이 품목별·상호관세 대상 여부 및 관세율 확인을 집중적으로 문의했다는 설명이다. 이달 초 상호관세 발표 및 유예 발표 시점에는 하루 200건 이상의 상담이 쇄도했다고 산업부는 덧붙였다.
한편, 관세 대응 119 상담 창구에서는 대미 무역 경험이 30년 이상인 수출전문위원들이 직접 품목별·상호관세 대상 여부와 관세율 등을 알려준다. 기업들이 직접 관세율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관세 확인 시스템'도 안내 중이다.
이와 함께 코트라는 전국 주요 지역을 직접 찾아가는 '관세 대응 설명회'도 30여 회 개최했다. 누적 3천 명 이상이 설명회에 참석했고, 대체 시장 발굴과 해외 생산 거점 이전 등 기업별 문의에 대한 1:1 개별 상담이 진행됐다.
산업부와 코트라는 우리나라 진출 기업이 많은 베트남 등 외국 현지에서도 다음 달 중 관세 대응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코트라는 또, 매주 '통상 환경 비상 대응 정기 설명회'를 개최해 기업들의 정보 애로 해소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세 대응 119 상담 기업을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으로 적극 연계하고 중소벤처기업부와 특허청 등 유관기관의 관세 대응 지원 사업을 포괄하는 '관세 대응 지원 사업 메뉴판'을 작성해 관세 애로 기업을 보다 내실 있게 지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