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이 21일 전북 진안군을 방문해 농업인력 수급 관련 의견을 청취했다. 농식품부 제공 올해 농번기 농업고용인력의 절반인 700만명이 외국인 계절근로와 내국인 농촌인력 중개 등으로 지원될 전망이다. 농번기 외국인 근로자로는 역대 최대인 7만9천명이 배정됐다.
농식품부는 21일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2025년 농번기 인력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농번기(4~6월, 9~10월)에 필요한 농업고용인력을 1450만명으로 예상했다. 이 가운데 약 50%인 700만명에 대해 공공부문인 외국인 계절근로(400만명)와 내국인 농촌인력중개·일손돕기(300만명)로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계절근로에 투입될 외국인력의 경우 134개 시·군에 6만8911명을 배정하기로 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4개 시·군, 7천여명 확대된 규모이다.
또한 농협이 인력을 운영하면서 농가에 일(日) 단위로 인력을 공급해 주는 공공형 계절근로도 70곳, 25만명에서 90곳, 30만명으로 늘려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농번기 계절근로자의 신속 입국을 지원하기 위해 법무부와 협조해 주요 출입국 외국인관서에 '계절근로자 사증발급 전담팀'을 운영하고, 성실 근무 계절근로자의 재입국 편의 제고를 위한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외국인근로자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2027년까지 기숙사 30개소를 건립하고, 향후 사업 지원대상을 농협까지 확대해 공공형 계절근로 운영 농협 전체가 기숙사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국내 인력풀 확대에도 나서기로 했다.
고용노동부 고용복지플러스센터(102개소)를 통해 도시 구직자에게 농업분야 일자리를 소개하는 등 구인활동을 강화하고, 9곳의 시·도 농업고용지원센터가 180곳의 시·군 농촌인력중개센터의 인력풀을 통합 운영하도록 할 계획이다.
일손돕기 인력은 농협중앙회의 농촌이음협약 2배 확대와 자원봉사센터(전국 246개소) 등과의 협업을 통해 올해 120만명으로 늘린다는 방안이다.
또한 사고·질병 발생 농가에 농작업을 지원하는 영농도우미의 경우 올해 관련 예산을 76억원으로 편성해 지난해보다 6억원 확대했다.
특히 농식품부는 사과, 복숭아, 포도, 배, 마늘, 고추, 양파, 배추, 무, 감자 등 10개 품목에 대해서는 농번기 인력 수급을 중점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해당 품목 주산지 등 32개 시·군에서 인력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계절근로자 신속 도입, 일손돕기 우선 투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농촌 인구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농촌 인력난은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라며 "법무부, 고용노동부와 함께 외국인력 공급을 확대하고 근로여건 개선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