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창권 제주도의원이 7일 도의회 제437회 임시회에서 도정질문을 하고 있다. 제주도의회 제공서울에서 제주까지 고속철도로 연결하기 위해 해저터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주도의회에서 나왔지만 제주도는 제2공항 건설 논의가 우선이라고 밝혔다.
제주도의회 송창권 의원(민주당, 제주시 외도동·이호동·도두동)은 7일 제437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제주에서 서울까지 고속철도가 오갈 수 있도록 해저터널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송 의원은 해저터널의 경우 자동차가 아닌 고속철도만 운영하는 것이어서 섬 정체성을 해치지 않고, 땅 속으로 70~100m 들어가 철도망을 까는 것이기 때문에 해양환경도 파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과 다름없다고도 했다.
송 의원은 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지난 2011년 조사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사업비는 15조원 정도라며 "기술이 진보되기 때문에 사업비는 더욱 절감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송 의원은 "물류비 절감 차원에서도 경제성이 충분하다"며 "영국이나 일본 등 해외에서도 여객과 함께 화물열차를 운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탄소중립 측면에서도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교통수단이 비행기이고 철도는 가장 적다"며 "항공기 증편보다 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탄소발생량을 월등히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영훈 제주지사는 제2공항 논의가 우선이라고 잘라 말했다.
오 지사는 "국토부가 추진하는 제주 제2공항 건설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이미 기본계획 고시도 이뤄진 상황이기 때문에 해저터널은 제2공항 건설 이후에나 논의할 수 있다"며 기본 입장을 고수했다.
오 지사는 이어 "기술적인 새로운 요인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론 머스크가 추진하고 있는 '하이퍼루프'라는 신개념 고속열차의 기술이 높은 수준까지 올라왔다"며 "기술의 발전 속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오 지사는 "탄소중립과 관련해서도 세계적으로 비행기 연료를 친환경 연료로 바꾸는 논의가 되고 있고, 비행기 운항에 있어서도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방안이 기획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