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후 '글로벌 관세전쟁'이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민간이 대미 통상 전략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20일 대한상의에서 삼성·현대·LG·포스코 등 9개 민간 연구 기관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대미(對美) 통상 대응 전략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최근 관세 등 미국 정부의 통상 정책이 잇달아 발표돼 우리 대응 전략을 본격적으로 마련해야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진행 중인 대미 통상 대응 동향을 공유하고, 주요 민간 싱크탱크의 제언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 본부장은 "미국의 통상 조치 현실화에 대응하여 정부는 대미 채널을 본격 가동하여 업계가 직면한 불확실성 극복에 최선을 다하는 중"이라 강조했다.
아울러 민간 싱크탱크와 협업을 강화해 대응 전략을 지속적으로 정교하게 다듬어 나가겠다는 의지도 전했다.
정 본부장은 특히 트럼프 행정부 2기를 맞아 민간 싱크탱크들도 업계를 대변하여 미국 통상 조치 대응 전략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만큼, 향후 정부와 싱크 탱크 간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강화해 민관이 '원보이스'로 대미 통상 대응 활동을 긴밀히 이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참석한 연구기관 수장들도 기관별 대미 통상 중점 연구 분야 및 계획을 공유하고, 주요 통상 현안에 대한 우리의 대미 대응 논리·메시지·아웃리치 전략 등에 대해 의견을 개진했다.
정부는 향후에도 민간 싱크탱크와 긴밀히 협업해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고, 고위급 방미 등을 통해 미국 통상 조치에 대해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