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경제 일반

    대출 규제에도…지난해 아파트 매수 1위 또 30대

    서울도 30대가 1위…40대와 격차는 좁혀져
    3단계 DSR 시행하면 수입 적은 30대 매수세 주춤할까

    박종민 기자박종민 기자
    지난해 하반기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전국에서 30대가 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했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거래된 49만 2052가구의 아파트 중 30대의 매입 비중은 26.6%(13만 973명)로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2위인 40대 비중(26.2%, 12만 8920가구)보다 근소하게 높은 수준이다.

    전국 아파트 연령대별 매입 비중은 2023년에 처음으로 30대가 40대를 추월한 이후 지난해 8월까지도 30대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지난해 9월 2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고 시중은행의 유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강화된 이후 9~11월까지는 40대의 매입 비중이 30대를 넘어서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다시 30대(26.6%)가 40대(25.8%)를 앞지르면서 연간으로도 2년 연속으로 30대의 매입 비중이 40대를 넘어섰다.

    서울 아파트 역시 지난해 30대 매입 비중이 31.9%로 전 연령대를 통틀어 가장 높았다.

    서울 아파트는 2019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매년 30대의 아파트 매입이 가장 많다. 다만 아파트 매매시장의 또 다른 축인 40대와의 비중 격차는 역대 최저로 좁혀졌다.

    지난해 40대의 매입 비중은 31.7%로 30대와 불과 0.2%p 차이다. 가구 수로는 각각 1만 8579가구와 1만 8492가구로 그 차이가 87가구에 불과하다.

    두 연령대의 격차가 2023년 4.5%p, 2022년 4.6%p 벌어졌던 것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서울은 지난해 상반기는 30대의 매입 비중이 40대보다 높았으나,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7월부터 이후 강화된 대출 규제가 시행된 11월까지 5개월간 40대 비중이 30대를 넘어섰다.

    그러나 12월에 다시 30대가 31.5%로 40대(29.1%)보다 많아지면서 연간으로도 근소한 차로 30대가 우위를 차지했다.

    서울 구별로 지난해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을 이끈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는 40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은 30대의 매입 비중이 높았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상반기까지 아파트 시장에서 30대의 약진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올해 7월 3단계 스트레스 DSR이 시행되는 등 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될 예정이어서 4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입이 적은 30대의 매수세가 종전보다 주춤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