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매매량 소폭 증가에…국내 인구 이동 반등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이동자 수는 628만 3천 명으로 전년대비 2.5%(15만 5천 명) 증가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동자'는 주민등록법에 따라 거주지를 바꿀 때 제출하는 전입신고서를 기초로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긴 이들이다.
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3%로 전년대비 0.3%p 증가했다.
2020년은 이동자 수 증가 폭(63만 1천 명)과 증가율(8.9%)이 1999년 이후 2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고, 인구이동률 역시 15.1%로 2015년 이후 5년 만에 15%를 넘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됐지만 부동산 경기가 활성화되면서 주택 매매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저출생 고령화로 인해 비교적 이동이 활발한 20대 인구가 크게 줄어든 가운데 부동산 경기까지 위축되면서 인구이동도 꾸준히 줄었다.
실제로 지난해에도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9%)와 30대(21.0%)가 높은 반면, 50대 이상 연령대는 10% 미만에 그쳤다.
이로 인해 2023년에는 인구 이동자 수가 2만 3천명(-0.4%) 감소한 612만 9천 명으로 1974년 이후 가장 적었고, 인구이동률도 12.0%로 1972년 이후 가장 낮았다.
비록 지난해 인구 이동자 수와 인구이동률은 전년보다 소폭 반등에 성공했다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통계청 온누리 인구추계팀장은 "인구 감소와 인구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으로 인해서 장기적으로 이동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라며 "단기적으로는 주택 정기지표의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입주예정 아파트 물량은 전년대비 10% 줄어서 4만 2천 건이 감소했지만, 지난해 1월~11월까지 주택 매매량이 14.7%, 7만 6천 건이 늘어서 이동자 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전체 이동자 중 시도내 이동은 65.4%(410만 9천 명), 시도간 이동은 34.6% (217만 5천 명)를 차지했다. 시도내 이동률은 8.1%, 시도간 이동률은 4.3%로 전년대비 각각 0.3%p, 0.1%p 증가했다.
권역으로 보면 수도권과 중부권은 각각 4만 5천 명, 1만 6천 명씩 순유입됐고, 영남권과 호남권은 4만 명, 1만 8천 명씩 순유출됐다.
시도별로는 인천(0.9%), 세종(0.7%) 등 5개 시도는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입돼 인구대비 순유입자가 많았고, 광주(-0.6%), 제주(-0.5%) 등 12개 시도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됐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80개 시군구는 순유입, 148개 시군구는 순유출됐다. 이 가운데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9.2%), 경기 양주시(7.6%), 경기 오산시(5.2%)이 꼽혔다. 반대로 순유출률이 높은 곳은 서울 용산구(-4.3%), 경기 의왕시(-2.9%), 경북 칠곡군(-2.4%) 순이었다.
전입한 주된 전입사유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 3개 사유가 전체 사유의 80.9%를 차지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주택·가족 사유로 인한 이동자 수는 증가한 반면, 직업사유로는 감소했다.
2025.01.24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