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경북도 제공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농촌인구의 고령화와 인력 부족 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경북도는 8일 농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2030 농업대전환 7대 핵심전략'을 발표했다.
 
도는 "농업대전환, 이제는 확산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이모작 공동영농 확대, 생산 현장의 첨단화, '평면 사과원'으로의 전환, 농식품 가공산업 육성, 경북 K-푸드 수출 2조 원 시대 개막, 유통의 디지털화, 농업의 미래 선제적 준비 등 7개 과제를 설정했다.
 
도는 2030년까지 이모작 공동영농을 17개소에서 100개소로 늘려 9천 ha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도는 이로써 벼 대신 콩이나 감자 등 다른 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쌀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도는 비닐하우스의 30%에 달하는 2천 7백 ha에 스마트 시설을 보급하고, 스마트 축산을 1400호로 확대해 편리한 농축산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경북 대표 과수인 사과의 재배 방식도 '평면 사과원'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평면 사과원은 사과나무의 모양을 평면으로 다듬어 수폭을 최대한 줄이면서 광 투과율을 높여 기존 사과원보다 품질이 높은 사과를 생산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더해 도는 농식품 기업 1천 개소를 육성해 농산물 부가가치를 높이고 포도, 딸기 등 신선농산물을 활용한 K-푸드로 농식품 수출 2조 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밖에도 도는 25개의 산지유통시설(APC)를 건립하는 등 농산물 유통체계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청년 농업인 육성을 통해 고령화, 일손 부족 등 미래 농업을 준비할 계획이다.
 
도는 2030년까지 총 1조 1657억 원을 들여 관련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의 농정 혁신 '농업대전환'으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를 열어가는 데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