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현장EN:]박찬욱 임진왜란 신작에 넷플릭스 CEO "韓과 밀접한 주제"

[현장EN:]박찬욱 임진왜란 신작에 넷플릭스 CEO "韓과 밀접한 주제"

한국 찾은 테드 서랜도스 한국史 이해도 드러내
"박찬욱 프로젝트 영광…韓영화와 사랑에 빠져"
"좋은 영화는 긴 여정 진입로…내겐 봉준호 '괴물'"
박찬욱 "한국영화 개성에는 '역사'가 결정적 작용"

넷플릭스 CEO 테드 서랜도스(가운데)와 박찬욱(오른쪽) 감독이 21일 열린 '넷플릭스&박찬욱 with 미래의 영화인' 생중계 행사에 함께하고 있다. 온라인 화면 캡처넷플릭스 CEO 테드 서랜도스(가운데)와 박찬욱(오른쪽) 감독이 21일 열린 '넷플릭스&박찬욱 with 미래의 영화인' 생중계 행사에 함께하고 있다. 온라인 화면 캡처한국을 찾은 넷플릭스 CEO 테드 서랜도스가 거장 박찬욱 감독 신작 '전, 란'(戰, 亂)을 두고 "한국과 밀접한 주제를 지녔다"는 말로 우리네 역사에 대한 이해도를 드러냈다. 박 감독이 넷플릭스와 손잡고 만드는 첫 작품 '전, 란'은 임진왜란을 다룬다.

테드 서랜도스와 박 감독은 21일 온라인 생중계된 '넷플릭스&박찬욱 with 미래의 영화인' 행사를 통해 영화가 지닌 힘, 한국영화의 강점 등에 대한 각자 의견을 내놨다.

박 감독은 이 자리에서 '전, 란'에 대해 "오랫동안 써 온 각본인데, 본격적으로 써서 완성한 때는 2019년"이라며 "사극에 무협액션이다 보니 어느 정도 규모가 따라 줘야 하는 작품인데, 넷플릭스와 이런 문제에 있어서 협의가 됐다"고 전했다.

그는 "그렇다고 (넷플릭스에서 지원하는) 돈이 아주 넉넉하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제작비는 아무리 많더라도 '더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는 말로 웃음을 자아내면서 "그런 점에 있어서 넷플릭스가 가장 좋은 지원을 약속해서 즐겁게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넷플릭스의) 간섭이 별로 없는데, 물론 정말 간섭을 안 하는지는 작품 편집이 돼 봐야 알겠지만 아직까지는 괜찮다"며 "창조적인 결정은 그 스튜디오의 문화와 정서, 그리고 그 결정권자 취향이 얼마나 고급스러운가에 의해 좌우되기 마련인데, 넷플릭스와 '전, 란'에 있어서 만큼은 아직까지 잘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영화 팬으로도 잘 알려진 테드 서랜도스는 이에 대해 "정말 기쁘게 생각한다. 박 감독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사실 세계가, 내가 한국영화와 사랑에 빠진지 수년이 됐다. 넷플릭스의 첫 번째 국제적인 영화도 봉준호 감독과 함께한 '옥자'였다. 그때부터 한국 영화계에 대한 족집게 강의를 받은 것 같다. 한국 영화계 수준은 정말 대단하다. 따라올 자가 없다"고 치켜세웠다.

특히 그는 "이번 '전, 란'의 경우 한국과 밀접한 주제를 가진 작품으로 거장의 손에서 탄생할 것이기에 더욱 기대하고 있다. (박 감독이) 조금 전에 예산과 창작의 자유에 대해 이야기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넷플릭스에서 하는 일은 스토리와 스토리텔러를 고른 뒤 최대한 많은 지원을 함으로써 원하는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다. 그 모델은 지금까지 잘 이어져 왔다"고 강조했다.

두 사람은 이 자리에서 각자 지닌 영화에 대한 진지한 생각을 내놓기도 했다.

먼저 테드 서랜도스는 "영화를 볼 때 사람들은 두 가지를 원한다. 하나는 '감정적인 연결'이고 나머지는 '탈출구'다. 결국 다른 사람들과 공감하거나 두 시간 동안 다른 곳으로 탈출하기를 원하는데, 좋은 영화는 둘 중 하나를 제공해 준다"며 "특히 스토리가 새롭고 진실될수록 좋은 영화라고 본다. 2004년쯤 (봉준호 감독 작품) '괴물'을 처음 봤는데, 당시 접한 디렉터 코멘터리는 내가 한국영화에 진입하는 계기였다. 그 이후 한국영화를 정말 많이 봤다. 좋은 영화는 긴 여정의 진입로가 돼 준다"고 설명했다.

박 감독은 "자아의 협소한 범위를, 개인으로서 한정된 경험을 넓혀 주는 것이 좋은 영화 역할"이라며 "좋은 영화를 만드는 힘은 비전과 통찰력을 지닌 감독이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 내느냐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이어 "좋은 감독이란 팀을 이룬 사람들과 끝없이 교류하면서 영감을 받고 자극하고 단일한 비전을 향해 끌고 가는 사람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영화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고, 그들이 자발적으로 동의하고 마음에서 우러나 감독의 비전을 함께할 수 있도록 만드는 비전과 통찰력을 지녀야 한다. 거기서 좋은 영화가 만들어진다"고 역설했다.

특히 박 감독은 한국 콘텐츠가 지닌 개성으로 '역사'를 꼽으면서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한국영화의 개성은) 우리와 부모 세대, 조부모 세대 영향을 받았을 테다. 우리는 너무 고생을 했다. 그 고생한 한국 사람의 역사가 결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본다. 일제시대부터, 전쟁도 겪고 독재정권 아래 얼마나 많은 피를 흘렸는가.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계급 갈등, 최근 젠더 갈등까지 압축적으로 겪었다. 우리는 이렇듯 바람 잘 날 없는 세상을 살면서 웬만한 자극에는 끄떡도 하지 않는다. 그렇다보니 우리나라 영화와 드라마는 자극적이다. 이러한 관객들을 자극해야 하니 감정의 진폭이 크고, 여러 감정들을 복합적으로 담아내려 한다. '웃기면 끝' '슬프면 끝'이 아니라 웃겼다가 슬펐다가 무섭기도 한 것이 다 있어야 한다."

그는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사람의 마음을 작품에 온전히 담아냈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이는 인생이 단순하지 않다는 사실을 잘 알기 때문"이라며 "그러한 한국 콘텐츠 특징이 인류 보편의 감정을 건드리니 국제적인 인정을 받는 것 같다"고 진단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