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후쿠시마 오염수' 소통 나섰는데…결국 IAEA 협조 수순?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IT/과학

    '후쿠시마 오염수' 소통 나섰는데…결국 IAEA 협조 수순?

    핵심요약

    日 오염수 관련 우려에…'매일 브리핑' 소통 나선 정부
    다음달 해안 방류 임박…지하매립‧증기방출 등 대안 논란
    '오염수 시료' 직접 채취 요구에…정부 "국제사회 방법론 아냐"

    송상근(왼쪽 네 번째) 해양수산부 차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관련 상황을 발표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송상근(왼쪽 네 번째) 해양수산부 차관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관련 상황을 발표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이르면 다음달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방류를 시작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우리 정부가 '일일 브리핑'을 열고 적극 소통에 나섰다. 국무조정실을 필두로 외교부와 해양수산부 등이 참석해 15일부터 매일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진행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오염수 채취 등에 대한 입장을 비춰보면 사실상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협조하는 수순으로 귀결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을 포함해 송상근 해수부 차관 등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부처 관계자들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약 1시간 동안 브리핑을 진행했다. 일본이 당초 계획대로 올 여름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을 거친 오염수의 해안 방류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국내 불안 여론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박 차장은 이날 "과학적 사실에 기반한 정보를 자주 제공해드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소통의 창구로 일일 브리핑을 추진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시작된 브리핑은 당분간 주말을 제외한 평일 오전에 매일 진행하기로 한 상태다.
     
    연합뉴스연합뉴스
    이날 브리핑은 '오염수 채취' 당시 윗물만 채취했다는 일부 의혹 보도와 알프스 처리 후 방사성 물질 등에 대한 정부 측의 반박 및 해명으로 시작됐다.
     
    지난 6일 '도쿄전력이 오염수를 섞지 않고 윗물만 시료로 채취를 해서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일본 내부에 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박 차장은 "보도와 달리 국제원자력기구가 최종 확증 모니터링에 활용한 오염수 시료는 균질화 작업을 거친 시료로 확인됐다"고 일본 측에서 제시한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 설명했다.
     
    알프스 처리 후에도 기준치의 최대 2만 배에 달하는 방사성 물질이 오염수에 검출된다는 데 대해선 일부분 인정했다. 다만 박 차장은 "일본 측은 이런 오염수가 기준치를 만족할 때까지 알프스를 활용해서 계속해서 정화를 하고 희석 후 방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며 "초기엔 고장이 났지만, 2019년 이후에는 이런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라고 설명을 해왔다"고 전했다.
     
    이어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는 범정부 부처 관계자들이 참석한 만큼 지금까지 브리핑과 달리 나름 심도 있는 내용들이 오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염수 처리 중 최선의 방식과 오염수 시료 직접 채취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 원론적인 입장을 고수하면서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인 허균영 범정부 TF 기술검토위원장. 박종민 기자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인 허균영 범정부 TF 기술검토위원장. 박종민 기자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인 허균영 범정부 TF 기술검토위원장은 '해안 방류가 오염수 처리를 위한 최선의 방식이냐'는 질문에 "해양 방류나 증발은 이미 검증된 기술로, 어떻게 하는지 알고 있고 안전규제도 준비가 돼 있다"며 "기술자적인 입장에서 답변을 원하신다면 차라리 잘 알고 있는 기술 중에서 저희가 택일하는 게 합리적인 판단이 아닐까라고 그렇게 본다"고 답했다.
     
    오염수 처리 방법으로는 지하 매립과 증기 방류, 지층 주입 등 4~5개 방식이 거론되는데, 일본은 처리 비용이 약 330억원에 불과한 해안 방류를 고집하고 있다. 지하 매립 등 다른 방식들은 3천억원에서 4조원 가량 소요되기 때문에 결국 일본이 저비용 방식인 해안 방류를 택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오염수 시료 채취 문제도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도쿄전력은 1급 보안시설 등을 이유로 오염수 시료 채취를 제한했다. 지난달 일본을 방문했던 우리 시찰단은 물론 대만과 IAEA 등도 역시 도쿄전력이 채취해 건넨 오염수를 받았을 뿐이다. 최근 처리된 오염수를 마실 수 있다고 밝힌 박일영 충북대 약대 교수조차 "주변국에서 요구하는 경우 도쿄전력이 시료의 직접 채취를 허용해 이를 시험함으로써 이중 확인이 가능하도록 해야 필요 없는 오해들을 불식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박 차장은 "(해안 방류는) 국제사회에서 여러 논의를 거쳐 세팅된 하나의 방법론 내지는 과정"이라며 "한참 잘 나가다가 또 어느 순간에 가서 '아니, 그거 말고 한번 다른 거 한번 해보시죠'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은 국제사회의 방법론은 아니다"라고 사실상 직접 채취 요청 시도를 거부했다.
     
    현재까지 상황을 종합하면, 결과적으로 해안 방류나 오염수 채취 문제 등에 있어서 당초 IAEA가 의도했던 대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이르면 이달 말 IAEA의 최종 보고서가 발간될 경우, 일본은 예고했던 대로 즉각 방류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CBS노컷뉴스와 통화에서 "과학적으로는 오염수가 위험한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면서도 "다만 과거 WTO 제소 당시 우리가 일본을 이긴 핵심 논리이기도 했던 '안전'보다는 '안심'의 관점에서 사안을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