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간담회서 발언하는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 연합뉴스가상화폐 '위믹스' 발행사인 위메이드 장현국 대표는 사측이 국회에 '입법로비'를 했다는 의혹에 대해 "단 하나의 객관적 증거가 없는 악의적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장 대표는 14일 오전 온라인으로 진행된 위믹스 AMA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몇 차례 경고를 했음에도 계속해서 악의적인 주장을 반복했고 결국 회사가 입은 명예 실추, 투자자들이 본 손해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물을 수 밖에 없다"고 언급했다.
앞서 한국게임학회 위정현 학회장은 더불어민주당 출신 김남국 의원이 수십억원대 '위믹스' 코인을 보유했다는 논란이 확산하자 성명을 내고 "몇 년 전부터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 업체와 협회, 단체가 국회에 로비하는 것 아닌가 하는 소문이 무성했다"고 주장했다.
의혹 제기에 대해 위메이드는 사실무근이라며 위 학회장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소한 상태다.
장 대표는 위 학회장이 가상화폐와 연결된 P2E게임을 '바다이야기'와 같은 도박 게임에 빗대는 것에 대해서도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반박했다. 그는 "미르4와 같이 블록체인 게임인 P2E와 도박 슬롯인 바다이야기가 왜 같으지 모르겠다"며 "종합적, 객관적인 접근을 해야 산업 및 학문 발전에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비판했다.
한편, 위믹스 투자자들은 장 대표에게 위믹스 가격 부양을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위믹스의 신뢰성을 회복하기 위해 재단이 보유 중인 물량을 소각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관련해 장 대표는 "(재단 보유 물량을 없애는) '제로 리저브'를 시행한 프로젝트들이 있었는데, 효과적인 전략도 이기는 전략도 아니었다"면서 "홀더들이 꾸준히 내놓은 방안이니, 검토하겠지만 이는 효율적인 전략은 아닐 것"이라고 답했다.
위메이드가 '미르4', '미르M' 같이 블록체인을 도입한 게임에 유료 확률형 아이템을 판매하는 것과 관련한 비판도 나왔다. 이용자 간 경제가 활성화돼야 게임과 연동된 가상화폐 가치도 상승하는데, 게임사가 유료 아이템을 팔면 그 취지가 퇴색한다는 주장이었다.
장 대표는 "수익모델은 면밀히 검토하겠다"며 "지난번 간담회 때도 말했듯, 한국식 수익모델보다는 패키지 판매나 월정액 모델이 토큰 경제에 더 어울린다는 말씀을 드린 바 있다"고 답했다.
장 대표는 향후 성과에 대해서는 "현재 '나이트 크로우'가 국내 매출 1위에 올랐다. 연내 '위믹스 플레이'를 통해 글로벌 버전을 론칭한다면, 큰 성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며 "'위믹스 프로젝트'는 전혀 흔들리지 않고 성과를 축적해가고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