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달리는 수소버스. 연합뉴스액화수소의 본격적인 생산을 앞두고 정부가 액화수소 수요 창출 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에서 액화수소 기업간담회를 열어 정부의 액화수소 정책을 설명하고 기업의 애로사항을 들었다.
산업부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와 SK E&S, 효성중공업은 올해 액화플랜트를 준공하고 연간 최대 4만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액화수소의 수요 창출과 기반 조성, 기술 개발 등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기로 하고 올해 수소버스에 대한 정부보조금은 신설한다.
또 수소버스의 취득세와 통행료를 감면하는 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고 통근·셔틀버스와 경찰버스의 단계적 수소버스 전환을 추진한다.
수소충전소에서 충전 중인 차량. 연합뉴스수소 수요의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액화충전소 70개소를 보급하기로 한 정부는 액화수소충전소 이격거리 조정 등 기업들이 바라는 규제개선에도 나선다는 생각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액화기술의 내실화를 위해 저장탱크와 밸브, 압축기 등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액화부품의 검사·인증기반 구축을 통한 기업지원을 강화한다.
기체수소를 영하 253도로 냉각해 액화한 액화수소는 1회 운송량이 2톤 이상으로 기체수소 200킬로그램 대비 저장과 운송이 우수해 미래 수소경제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1월 오는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를 3만대로 늘리고, 청정수소발전 비중을 오는 2036년까지 7.1%까지 확대한다는 내용의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마련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