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연합뉴스교육부가 학생 맞춤 교육 실현을 위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교육분야에 적용한 에듀테크(Edutech)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2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디지털 교육 대전환에 대한 비전과 핵심정책을 국민들과 공유하고, 디지털 교육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 비전선포식과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디지털 교육 대전환은 교육개혁 핵심과제로, 올해 교육부 업무보고에서도 2025년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교과서 도입이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모든 교사들이 에듀테크를 활용해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 실현'을 디지털 교육의 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람(교사)과 기술(에듀테크)이 모두 중요함을 강조하며 직접 디지털 교육에 대한 비전과 핵심정책을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디지털 시대에는 지식은 물론 창의성, 인성, 비판적 사고력과 같은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위해 교사는 모두에게 맞춤 학습환경을 디자인하는 '학습 디자이너'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때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이 교사가 맞춤 학습환경을 디자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만큼, 교육에 활용되는 기술(에듀테크)을 발전시켜 학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정부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이 부총리는 앞으로 교육부는 교사 연수를 통해 기술적 전문성도 함께 갖춘 혁신적 교사들을 확대해 나가면서, 민간과의 협력적 파트너십을 통해 에듀테크 산업을 육성하고 학교현장에서 보다 쉽게 에듀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 UN 교육특사인 고든 브라운 영국 전 총리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학생들은 학습 역량과 속도에 맞게 나아갈 수 있고, 모든 아이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며 "전 세계가 한국의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에 감명 받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고진 위원장은 "경제·산업은 물론 국민 일상까지 근본적으로 바꾸는 디지털 심화시대가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부가 교육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비전을 선포하고 핵심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교육부의 계획이 구체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디지털 교육 관련 전문가 초청 토론회(인사이트 포럼)와 학술회의(컨퍼런스)도 개최됐다. 인사이트 포럼에서는 하정우 네이버 AI랩 소장이 발제를 맡아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주제로, 컨퍼런스에서는 이광형 카이스트(KAIST) 총장이 '챗지피티(ChatGPT)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교육의 방향'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