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아래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이한형 기자올해 서울 저소득층 가정 학생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169억원을 들여 5만6천명을 지원한다.
서울시교육청은 7일 저소득층 가정 학생 지원을 위한 '2022년 서울형 교육복지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예산은 작년보다 13.5% 증가한 169억428만원으로 대상 학생수는 5만6천45명이다.
대상 학교는 작년 963곳에서 올해 1천74곳으로 확대된다. 이는 관내 전체 학교 수(1319개교)의 81.4%다.
서울형 교육복지사업은 저소득층 학생이 다니는 학교를 교육복지학교로 지정하고 교육복지 전문인력과 예산을 지원해 이들 학생에게 전 분야에 걸쳐 맞춤형 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교육복지학교는 거점학교(293개교)와 일반학교(781개교)로 구분된다. 집중지원 학생이 많은 거점학교는 전문인력과 운영예산을 우선 지원하고, 일반학교는 학생당 예산을 지원한다.
올해부터는 사업학교 확대운영을 위해 지정방식을 보편·선별·공모형으로 다양화한다.
거점학교는 기존방식을 유지해 법정 저소득 학생이 40명 이상인 학교로 지정한다.
일반학교는 관내 초·중학교 전체로 확대된다. 국·사립 초등학교는 경제적 저소득 학생 7명 이상인 학교로 선별적 지정방식이 유지된다.
또 자율 일반학교 공모 사업을 신설해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저소득가정 학생, 다문화‧탈북 가정 학생, 난민 인정 학생 등 지원이 필요한 학생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지원할 예정이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코로나19 이후 교육소외 해소를 위해 교육복지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서울형 교육복지학교를 확대해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멈춤 없이 교육취약학생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