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코로나 팬데믹이 오히려 기회…한국 수출 66년來 최고치 기록



산업일반

    코로나 팬데믹이 오히려 기회…한국 수출 66년來 최고치 기록

    13일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13일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한국 수출과 무역이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전통적 강세 종목과 전기차 배터리, 바이오 등 새로운 수출주도 종목이 실적호조를 쌍끌이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11시 36분 집계 결과,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수출 최대실적인 2018년의 6049억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1964년 첫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한 이후 1977년 100억 달러, 1995년 1천억 달러, 2018년 6천억달러에 이어, 올해 2018년 수출기록을 갈아치우며 66년 수출코리아의 새로운 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했다.

    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2018년을 넘어 역대 최대의 수출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주력 수출산업의 주도적 역할과 새로운 수출 품목의 약진, 수출 품목 고부가가치화 등의 요인이 꼽힌다.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반도체·조선·자동차 등 주력 산업은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다지며 두 자릿수대의 가파른 수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OMDIA자료에 따르면, 지난 1~9월 메모리 반도체의 수출액은 728억 달러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세계시장 점유율은 58.9%로 압도적 1위를 지켰다. 2위인 미국의 점유율은 26.3%이다.

    자동차는 누적 수출액을 기준(국제무역센터 통계)으로 세계 5대 수출국 지위를 유지했다. 자동차 수출 1위는 독일이었고 일본 미국 멕시코 순이다. 조선업은 클락슨 통계 기준, 올해 1~11월 전 세계 LNG선과 친환경 선박에 대한 한국 수주량이 모두 1위다. LNG선 발주 67척 중 62척을 우리나라가 수주했고(93%), 친환경 선박 전체 수주량 1623만CGT 중 64%인 1045만CGT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기차 배터리와 디스플레이, 스마트폰도 선전했다.


    새로운 수출품목의 약진은 두드러졌다. 시스템 반도체, 친환경차, 바이오헬스, 이차전지, OLED, 농수산식품, 화장품 등 新수출 유망 품목들이 모두 2018년을 넘어 최대 수출규모로 성장한 것이 올해 연간 수출액 최고치의 원동력이 됐다는 것이 산업부 설명이다.

    우리 기업들 모두 전년 동기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하면서 세계 점유율 2위 순위를 유지했다. SNE 리서치 제공우리 기업들 모두 전년 동기대비 두 배 이상 성장하면서 세계 점유율 2위 순위를 유지했다. SNE 리서치 제공
    특히, 바이오·이차전지·농수산식품·화장품 등 4개 품목에서만 2018년 대비 123억 달러 증가하며 수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했다. 화장품의 연간 수출액은 2000년 이후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며, 올해 처음으로 화장품 수출 5위국에 진입했다.(ITC 통계) 화장품 수출액은 2018년 62.7억 달러, 2019년 65.4억 달러, 2020년 75.6억 달러, 2021년(1~11월) 85.1억 달러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헬스 중 진단용제품은 코로나19 진단키트 등의 수출 호조로 2019년 수출 순위 20위에서 2021년에는 6위권으로 뛰어 올랐다.

    지속적인 수출 증가로 인해 한국의 수출산업 위상도 굳건해졌다. 우리나라의 올해 수출 순위는 지난해와 동일한 7위, 무역 순위는 9년 만에 8위로 도약했다. 수출은 코로나19 위기를 겪으며 영국·프랑스 등은 전년대비 순위가 하락한 반면, 우리나라는 작년에 이어 7위를 지켰다. 무역은 이탈리아를 제치고 9년 만에 8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도 전망도 밝다. 글로벌 교역 및 수요 증가 등 실물경제 회복세가 지속되며 수출 증가세는 계속될 것으로 산업부는 전망한다. 다만, WTO는 2022년 세계 무역규모 증가율을 당초 +4.0%에서 +4.7%로 상향 조정했으나 이후 오미크론 변이가 출현하고 델타 변이 확진자 수도 여전히 줄지 않아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