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5·18 기념행사의 꽃' 전야제,코로나 여파로 관람형 행사로 개최

'5·18 기념행사의 꽃' 전야제,코로나 여파로 관람형 행사로 개최

시민 참여형 아닌 관람형 행사로 전야제 개최
프랑스 오리지널 공연팀 레미제라블 선보여
젊은세대를 위한 힙합, 일렉트로닉 무대도 구성해
미얀마 민주주의 지지 공연도 예정

5·18 전야제의 밤.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제공

 

제41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의 꽃인 전야제가 코로나 여파로 시민 참여형 행사가 아닌 관람형 행사로 이뤄진다.

제41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6일 광주 전일빌딩 24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전야제를 온·오프라인 공연 관람 형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여파로 취소됐지만 올해는 5·18 전야제가 오는 17일 오후 7시 30분부터 밤 10시까지 광주시 동구 5·18 민주광장과 금남로 일대에서 열린다.

올해 5·18 전야제는 '오월 시대와 눈 맞추다, 세대와 발 맞추다'라는 5·18 41주년 슬로건 처럼 불평등과 양극화 시대를 오월 정신으로 타개하고 다양한 세대와 조화를 추구하는 행사로 치러질 계획이다.

6일 제41주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는 광주 전일빌딩 245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전야제를 온·오프라인 공연 관람 형식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한영 기자

 

5·18 기념행사의 메인 행사인 5·18 전야제는 △연대의 장 △항쟁의 장 △계승의 장 등 3부로 나누어, 5월을 경험하지 못한 세대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공연들로 펼쳐진다.

특히 이번 전야제에서는 오월 광주와 프랑스 대혁명이 만난다.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한 레미제라블 오리지널 공연팀이 찾아와 공연을 통해 자유와 평등, 박애 정신을 일깨워줄 예정이다.

또 기존의 무대에서 탈피해 젊은 세대를 위한 혁신적인 무대도 준비됐다.

힙합 가수 제리케이와 탐쓴을 비롯해 일렉트로닉 밴드 이디오 테잎, 국악기와 양악기를 혼용해 새로운 음악을 창조하고 있는 잠비나이 등이 무대에 오른다.

이밖에 풍물패 공연과 미얀마 민주화를 지지하는 공연도 펼쳐진다.

올해 전야제에서는 코로나19 확산 방지 차원에서 시민 참여형 주요 행사인 '민주평화대행진'과 '시민난장'이 열리지 않는다. 대신 인원 제한을 둔 음악·연극 공연 행사가 열린다. 또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미리 초청받은 99명만 전야제 행사에 입장할 수 있다. 초청받지 못한 시민은 금남로에 설치된 전광판 또는 유튜브를 통해 전야제를 관람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올해 전야제에서는 5·18 전야제 홈페이지를 통해 5·18을 기리는 추모 메시지와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맞서 싸우는 민중들에게 지지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이렇게 접수된 메시지 등은 전야제 본 행사 때 영상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제41주년 5·18민중항쟁 전야제 남유진 총감독은 "코로나19로 많은 인원을 어우르는 체험 행사는 열지 못 한다"며 "대신 전야제를 통해 5월 정신을 계승하고 미얀마 등과 민주화를 위해 연대하는 장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