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어린이집, 軍부대 등서 가습기살균제 사용…피해가능성↑"



사건/사고

    "어린이집, 軍부대 등서 가습기살균제 사용…피해가능성↑"

    사참위, 직권조사로 대형마트 판매내역 파악…"총 4600여개"
    '나라장터' 등으로 서울메트로 등 공공기관 구매이력도 확인
    "'가정外'는 사각지대…의료·카드기록 등 다각적 피해자 찾기 필요"

    지난 9일 오전 서울 중구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옥시RB와 김앤장의 가습기살균제참사 축소·은폐 의혹' 조사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김유정 가습기살균제 조사1과장(오른쪽)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어린이집과 군(軍)부대, 요양원, 공공기관 등에서 가습기살균제 제품을 대거 사용했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현재까지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가 훨씬 많을 수 있다는 추정을 뒷받침하는 내용이라 보다 정밀한 추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습기살균제사건과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는 10일 직권조사로 대형마트인 '이마트'에서 지난 2010~2011년 가습기살균제를 판매한 내역을 확인하고, 카드사 8곳을 통해 어린이집·요양원·공공기관·군부대·사기업 등에서 법인카드로 3419번에 걸쳐 총 4668개의 가습기살균제를 구매한 사실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구매량은 사기업이 3028개로 가장 많았고, △정부(공공)기관 355개 △학교 279개 △의료시설(기관) 264개 △어린이집 261개 △복지시설 208개 △군부대 116개 △기타 157개 등의 순이었다.

    이들 법인·단체가 이마트에서 구매한 가습기살균제는 모두 3개 제품이었다(옥시레킷벤키저가 제조·판매한 '옥시싹싹 가습기당번', 애경산업이 판매한 '가습기메이트', SK케미칼이 원료를 공급하고 애경산업이 제조, 이마트가 판매한 '이마트 가습기살균제'). 구매량은 각각 △가습기당번 2284개 △가습기메이트 576개 △이마트가습기살균제 559개로 조사됐다.

    사참위는 아울러 현재 운영 중인 29개 공공기관 전자조달시스템을 통해 지난 2002~2011년 가습기살균제 구매이력을 전수조사한 결과, 총 8곳의 공공기관이 232개의 가습기살균제를 구매한 사실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구매경로와 개수는 △조달청 '나라장터'(166개) △방위사업청 '국방전자조달'(73개)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 전자조달시스템'(13개) 등이다.

    이 중 서울메트로는 나라장터를 통해 옥시 '가습기당번'을 127개 구매해 본사 신호관제사무실과 침실에서 사용했고, 국방부는 '가습기세정제 아토세이프' 43개, '가습기메이트' 29개를 구매해 사무실 등에서 사용한 사실도 추가로 확인됐다.

    특히 서울메트로와 육군군사사령부 등 일부 공공기관은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공론화된 2011년 8월 당시 질병관리본부(現 질병관리청)가 가습기살균제 출시·사용을 자제해달라는 권고를 한 이후에도 가습기살균제 구매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참위는 이번 조사로 국방부, 보건복지부 등 기존 정부기관의 '피해자 찾기'에 허점이 있었음이 드러났다고 진단했다. 앞서 국방부가 지난해 가습기살균제 피해신고센터를 설치하고 피해 전수조사를 한 결과 31개 부대 내 사용이 밝혀졌지만 이번에 43개 부대의 구매사실이 새롭게 확인된 점, 복지부가 지난 2006~2016년 파악한 8개 종합병원 외 9곳에서 구매내역이 파악된 점 등을 지적한 것이다.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또한 시(市)가 지난 2016년 주요시설 조사결과 밝힌 5곳 외 44건이 추가로 확인됐다. 당시 서울시가 국공립어린이집만 조사대상으로 했는지도 보완조사가 필요한 부분이다.

    사참위는 "가정 내 가습기살균제 피해는 본인 및 가족이 직접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기에 스스로 피해사실 확인 및 증명이 가능하다"며 "그러나 어린이집, 요양원, 병원, 군부대 등 가정 외 가습기살균제 피해는 노출이 된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피해를 입었더라도 입증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조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가정 외' 가습기살균제 노출은 '가정 내' 노출에 비해 사용 가습기 대당 노출대상은 더 많지만, 사용장소가 넓고 가습기와 사람 간 거리가 멀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피해범위와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며 "향후 정부, 지자체 등과 협조를 통해 '가정 외' 가습기살균제 피해규모 파악과 안내를 보다 면밀히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사참위는 조사대상 중 연락처가 확보된 1232곳에 가습기살균제 사용사실을 통보했고, 이 중 98곳은 노출자로 추정되는 6011명에게 문자·메일 등으로 피해사실을 알렸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 과정에서 복지시설에서 급성심부전으로 사망한 의심사례, 요양원에 중풍으로 입원한 환자 중 급성폐렴으로 사망한 의심사례 등이 파악됐다고 부연했다.

    최예용 가습기살균제사건 진상규명소위원장은 "이번 조사는 사참위가 설문조사가 아닌 대형마트와 카드사를 직접 조사해 대규모 가습기살균제 구매내역, '가정 외' 가습기살균제 구매 및 사용을 확인한 첫 사례"라며 "정부는 건강보험공단의 의료기록, 카드사 구매이력 등을 활용해 '가정 외' 가습기살균제 노출가능성뿐 아니라 피해질환 유형 확인 등 좀 더 구체적이고 다각적인 피해자 찾기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