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무술년이 열리면서 대전·세종·충남 지방정부가 새로운 변화의 길에 섰다. 오는 6월13일 실시되는 지방선거가 대전·세종·충남 지방정부의 올해 첫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지방선거를 앞둔 지금, 지방정부의 변화와 혁신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특히, 올해 지방선거는 대전시장과 충남도지사가 출마하지 않으면서 보다 더 다이내믹한 선거전이 예상된다. 대전CBS는 신년기획으로 6·13지방선거의 의미와 주요 광역단체장 선거판을 짚어보기로 했다. [편집자 주]
3일은 두 번째로 '여당, 이번에는 대전시장 당선 가능한 가'이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권선택 전 대전시장의 중도 하차로 시장 자리는 비어 있다. 여당에서는 이미 현역의원과 기초단체장의 출마가 거론되고 있다.
현역의원에서는 4선의 이상민 의원과 재선의 박범계 의원이 유력후보로 분류되고 있다.
이상민 의원은 지난해 말부터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역 곳곳의 논란이 되는 정책 현장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국회의원의 활동보다는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행보라는 게 지역 정가의 판단이다.
박범계 의원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강연 정치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연말 한밭대에서 토크콘서트를 열고, 대전 서구청에서 혁신 특강 등을 여는 등 '적폐청산' 키워드를 활발하게 알리고 있다.
최근 3선 불출마를 선언한 허태정 유성구청장은 ‘젊은 정치인’의 이미지를 내세워 대전시장에 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은 대전에서 각종 여론조사를 통해 확실한 우세를 보이고 있어, 경선이 곧 본선이라는 말이 정가에서 나올 정도다.
자유한국당에서는 박성효 전 시장이 분주히 다니고 있다. 박 전 시장은 이미 지역 언론을 통해 출마를 밝힌 상태다. 자유한국당에서 또 다른 변수는 현역의원 차출론이다. 당 안팎에서는 재선의 이장우·정용기 의원을 대전시장 후보군으로 꼽고 있다.
국민의당에서는 한현택 동구청장이, 바른정당에서는 남충희 대전시당 위원장이 후보로 오르내리고 있다. 정의당은 김윤기 대전시당 위원장이 거론되고 있다.
대전시장 선거는 민선6기 얽혀 있는 현안을 어떻게 풀어낼지, 정책 방향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건설방식은 트램으로 결정됐지만, 일부 후보들을 중심으로 트램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의 반발과 국토부의 중지 명령 등으로 잠시 멈춘 갑천호수공원 개발과 월평공원 개발에 대한 후보자의 정책 기조도 유권자의 판단 기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자력 안전과 청년 취업 등 풀어나가야 할 현안이 많다.
대전시장 선거의 또 하나의 관전포인트는 여당 후보의 당선여부다. 대전시장 선거에서는 민선6기까지 여당 후보가 당선된 적이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제1회와 2회 지방선거를 뺀 3~6회까지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당선자를 전폭적으로 지지한 사례도 없었다.
3회 지방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염홍철 후보의 득표율이 46.61%, 자민련 홍선기 후보 40.20%였으며, 4회 한나라당 박성효 후보 43.83%, 열린우리당 염홍철 후보 41.14%, 5회 자유선진당 염홍철 후보 46.67%, 한나라당 박성효 후보 28.5%, 지난 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권선택 후보 50.07%, 새누리당 박성효 후보 46.76%의 득표율을 올렸다.
대전 시민의 민심을 그만큼 읽기가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올해 지방선거에서는 어떤 표심으로 나타날지 관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