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배터리 전력 공급 문제 등 사용자 안전 위한 선택"…꼼수 지적도

 

애플이 새로운 iOS 업데이트를 진행하면서 구형 아이폰의 성능을 제한한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애플은 20일(현지시간) 공식성명을 통해 "아이폰에 탑재된 리튬 이온 배터리는 잔량이 적거나 기온이 내려갈 경우 전력공급에 차질이 발생한다"며 "이는 아이폰이 예기치 못하게 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 자체적으로 iOS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배터리가 오래된 경우 아이폰 작동에 문제가 생기거나 의도치 않게 꺼질 수 있어 배터리와 시스템, 하드웨어를 관장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의 성능을 의도적으로 저하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아이폰이 다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추운 온도에서나 배터리가 부족한 상태, 노후화 된 배터리에서 의도적으로 속도를 늦췄다고 애플은 밝혔다.

애플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년 출시한 iOS 10.2.1부터 향상된 전원 관리 기능을 채택했다. 아이폰6, 아이폰6 플러스, 아이폰6S, 아이폰6S 플러스에 적용되었으며, 올해는 아이폰7과 아이폰7 플러스까지 확대하는 등 다른 기기에도 앞으로 이 기능을 지속해서 적용할 예정이다.

애플의 이번 성명은 이달 초 소셜미디어 레딧에서 구형 아이폰의 성능저하 문제가 거론된 이후 벤치마크 앱인 긱벤치가 신형 아이폰 출시와 iOS 업데이트 시점에 주로 발생하는 성능저하 현상을 입증한 자료를 공개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긱벤치 창업자인 존 풀은 아이폰의 배터리 수명이 줄어들면서 프로세서의 성능이 떨어지고 속도가 느려진다고 밝혔다.

그동안 시중에서는 애플이 신형 제품의 판매를 진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iOS 업데이트를 통해 구형 아이폰의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의혹이 제기되어 왔다.

0

0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