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카뱅 상담 폭주에 본사 인력까지 투입…고객센터 증설 준비

LIVE

카뱅 상담 폭주에 본사 인력까지 투입…고객센터 증설 준비

영업 13일 만에 신규 계좌 200만좌 넘어…"한도와 금리조정 공유" 약속도

 

카카오뱅크가 예상을 넘어서는 문의 폭증으로 상담 접속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고객센터 인원 200명에 본사 인원 50명을 긴급 투입했다.

8일 카카오뱅크는 어플리케이션 공지를 통해 "예상을 넘어서는 문의량으로 인해 상담 접속이 원활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카카오뱅크는 전날 90명의 상담 인원을 추가 배치한 상태다.

이와함께 카카오뱅크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최대 500명 규모의 제2고객센터 증설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뱅크는 현재 영업 13일만에 신규 계좌 개설 건수 200만좌를 돌파하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8분 현재 신규 계좌 개설 건수는 200만 8좌, 오후 2시 기준 체크카드 신청 건수는 141만장을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대출 서비스 접속이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잇따르는 상황이다.

카카오뱅크는 "대출 트레픽이 유관기관들의 처리 용량을 넘어서고 있다"며 "대출 서비스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점 죄송하다"고 밝혔다.

체크카드 배송이 지연되는 점과 관련해서는 "배송이 4주 가량 소요될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7일 기준 신청 건수 130만건 가운데 30만건이 배송된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뱅크는 신속한 배송을 위해 추가로 우체국 등기를 통한 배송도 시작했다.

아울러 카카오뱅크는 은행법에 따라 설립된 제1금융권 은행으로서 예금보장과 안정성을 위한 노력을 함께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출 상품의 한도와 금리조정은 수시로 일어날 수밖에 없지만 주요한 변경에 대해서는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카카오뱅크가 별다른 공지 없이 슬그머니 신용등급별 부여한도를 축소하자 비판이 제기된 것을 의식한 대목으로 풀이된다.

카카오뱅크는 "고객들의 불편이 길게 이어지지 않도록 직접 할 수 있는 일들은 먼저 하고 유관기관들과 공조해 순차적으로 실행하겠다"며 "어떠한 일이 발생하더라도 원인과 대응 현황을 최대한 공유하며 진행하겠다"고 약속했다.

0

0

전체 댓글 14

새로고침
  • KAKAO깔삼뽀잉2023-11-26 01:28:40신고

    추천0비추천1

    공수처장이 저러고 싶겟냐 싹다 보수 정부 요직 애들삭다 조사하고싶겟지 헌데 헌데말이지 보수 정부요직 조사하게돼면
    보수 10명잡아서 조사하면 유죄1명 나오구 민주당 애들도 해야지 보수 표적수사 못하잖아 공수처인데 좌파애들 검사하면 10명중 9명이 잡혀오는데 조사할수잇겟냐 ?????

  • KAKAO깔삼뽀잉2023-11-26 01:27:25신고

    추천1비추천1

    ㅋㅋ 저인간 표정봣어 나는 아무런 잘못두 없고 재대로햇다는 굳은 표정 좌파 개돼지들은 저인간이 왜 감사받는주는 알고잇냐
    진현미인가 중국 진씨인가 ㅋㅋㅋ 혼자 끝까지 임기다채우면서 좌파 애들감싸고 보수애들 트집잡을거 없냐 불법으로 조사하고있으니 얼마나 꼴보기 싫엇겟냐 솔직히 이인간 조사대상이 맞냐 이재명 횡령 공금 사용 법카사용 검사하는 맞냐
    공수처가 물수처가 아니가 ㅋㅋ 공수처가 보수만 조사못하잖아 공평해야하는데 이재명 최강욱 싹다 다해야돼거든 보수 표적 조사하면 불법적이고 어쩔수없는거잖아

  • NAVERkmj2023-11-25 16:54:57신고

    추천7비추천1

    원래 저런 표정인지..사진기자가 저런 사진을 고른건지는 모르겠지만...인상 참...껄적지근하긴하네..ㅋ...뭔가 깔보는 듯한 눈빛과 입꼬리로 상대를 바라보는 느낌인데...지금 바라보는 것 실제 보이는 국회의원이나 기자를 보면서도 저런 인상이라면 일반 국민이나 자신보다 하위 직급의 직원들에겐 어떻게 대했는지..안봐도 훤하다..어떻게 윤 정부는 하나같이 저런 식의 인상을 선호하는 건지 잘 모르겠으나..ㅋㅋ.....쉽게 말하면 4가지가 없는 관상보고 임용하는 듯...여튼, 일반화하긴 싫지만 가끔 '관상이 과학'이 맞는 느낌이 있다..ㅋ

더보기 +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