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사공 많은 금융개혁, 산으로 가면 어쩌나

대통령·경제부총리 연일 개혁부진 질타…여당은 TF까지 꾸려

대통령과 경제부총리가 연일 금융개혁 부진을 질타하고 여당은 TF까지 구성하면서 금융개혁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재촉과 압박은 오히려 금융개혁을 그르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 5일 열린 박 대통령주재 수석비서관회의 (사진=청와대 제공)

 

"경제의 혈맥인 금융이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낡고 보신적인 제도와 관행은 과감하게 타파하고 시스템 전반에 경쟁과 혁신을 불어넣어야 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금융개혁은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과제"라며 한 말이다. 지난 3월 16일 임종룡 위원장 취임 이후 금융개혁 정책 추진에 여념이 없는 금융위원회로서는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는 발언이다.

박 대통령은 또 이미 금융위원회가 도입이나 시행을 결정한 인터넷전문은행과 크라우드펀딩, 계좌이동제를 "더 속도감 있게 추진하라"고 재촉했다.

한국 경제 사령탑인 최경환 경제부총리는 지난 10일(현지 날짜)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방문한 페루 리마에서 훨씬 더 나갔다. 최경환 부총리는 "지금의 금융개혁은 개혁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들 정도"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특히 최 부총리는 "오후 4시에 은행 문 닫는 나라가 어디 있느냐"며 느닷없이 금융개혁 초점을 '금융권 노사문제'로 바꿔 놓았다.

새누리당은 새누리당대로 금융위원회가 미덥지 못한지 '금융개혁 TF'까지 꾸리고 나섰다.

집권 여당이 핵심 국정과제 해결을 위해 TF를 만드는 게 크게 이상할 건 없다. 그러나 금융위원회가 금융개혁을 부르짖은 지 7개월이나 지난 시점에서 뒤늦게 TF를 구성한 데서 금융개혁 주무 부처에 대한 여당의 불신이 엿보인다.

금융개혁 필요성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국내 산업 중 가장 보수적인 부문인 금융을 개혁하는 데는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 지적이다.

중앙대 경영학과 박창균 교수는 19일 "당장 성과가 나지 않는다고 기다려 주지 못하고 자꾸 몰아붙이면 2000년대 초 신용카드 같은 사태가 난다"고 경고했다. 금융개혁을 빙자한 섣부른 규제 폐지 또는 완화로 우리 경제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어리석음을 반복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다.

1

0

전체 댓글 5

새로고침
  • NAVER친일빨갱이척살단2023-11-24 17:34:25신고

    추천0비추천1

    깜놀 외계인이 지구만한 비행선 타고 온줄 알았네.....ㅋㅋ
    지구 도는 물체가 어디 북한 위성만 있냐?
    수천만개 물체가 지구 상공을 돌고 있다 조심해라!
    언제 떨어 질지 모르니?

  • NAVER교육자2023-11-24 16:26:56신고

    추천1비추천4

    전쟁이 끝나면 다시 냉전시대로 돌아가겠구만. ㅋ 러시아 중국 북한 여기에 이젠 이란까지 가세할게뻔하고 ㅋ 미국은 조땟다 이제 ㅋ 한국이 선진국이 되는 바람에 한국은 이제 예전 독일의 베를린 처럼 첩보전의 나라가 되겠군 ㅋ 테러도 많이 일어 날테고 이 나라 이제 떠날때가 되었나보다. 이미 제주도는 중국이 장악했고 러시아 전쟁이 끝나자 말자 남중국해에서 충돌이 일어나겠군 ㅋ 중국이 해상을 장악하는 순간 미국의 주도권은 사라질 것이다. 중국은 필사적으로 그것을 원하고 미국은 무력충돌을 원하지 않을것이다.

  • NAVER교육자2023-11-24 16:23:31

    작성자에 의해 삭제 된 댓글입니다.

더보기 +


제 21대 대통령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