ㅂ
김대중 전 대통령의 이른바 ''노벨상 로비의혹''에 대한 전모를 밝히겠다던 김기삼씨가 한차례 기자회견을 연기한 끝에 3일(현지시간)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민의 정부시절 정권 초기부터 ''노벨상 프로젝트''가 진행됐다고 거듭 주장했다.
김 씨는 이날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펜실베이니아주 미들타운에서 CBS를 비롯한 일부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국민의 정부 첫 해인 1998년 5월 당시 이종찬 국정원장이 DJ비서로 있던 김00씨를 이른바 ''노벨상 공작 담당관''으로 임명했다고 주장했다.
김 씨는 ''정권초기에는 국정원이 노벨상 공작을 담당했지만 김00씨가 청와대로 들어간 1999년 12월부터는 청와대 주도로 극비리에 노벨상 수상을 위한 공작이 진행됐다''고 말했다.[BestNocut_R]
김 씨는 99년 2월부터 그해 5월까지 4개월동안 김00씨와 국정원에서 업무를 같이 했던 만큼 관련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면서 일명 ''메모''라고 불리는 국정원 정보담당관들의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자신이 직접 작성한 A4용지 10쪽 짜리의 자료를 공개했다.
그는 ''당시 국정원내 최고의 기밀은 노벨상 관련 보고서였다''면서 ''수많은 노벨상 관련 문서들이 파기됐고,자신이 만든 10쪽짜리 자료는 국정원 문건을 요약한 것''이라고 말했다.
ㅂ
이날 김 씨가 공개한 자료는 98년 3월부터 2000년 12월 DJ의 노벨상 수상때까지 자신이 공작이라고 주장하는 각종 행사와 관련 인사들의 발언등이 담겨져 있다.
그는 또 노벨상 수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건너 스톨셋 노벨위원회 부위원장, 잰 엘리아손 스웨덴 외교차관, 노르웨이 단체인 월드뷰라이츠의 루네 허쉬빅 사무총장,마이클 슐만 노벨박물관장 등을 상대로 청와대가 공작을 벌였다고 주장했다.
다만 김 씨는 정권 차원의 공작을 입증할 수 있는 국정원의 내부문건을 공개할 지 여부에 대해서는 ''자신이 무슨 주장을 해도 반박을 할 것이기 때문에 문건 공개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경환 공보비서관은 이날 ''김 씨의 주장은 무지의 소치거나 음모일 뿐''이라고 반박하면서 ''노벨상이 금전이나 로비,또는 공작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상이라면 노벨상이 아니라''고 비난했다.
최 비서관은 또 ''노벨상 수상 8년이 지나도록 정치적 음모가 계속되는 데 더 이상 묵과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그 배후와 책임을 추궁할 작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최 비서관은 ''김기삼 씨의 일방적이고 확인되지 않은 주장을 그대로 보도한 <일요서울>에 대해 법적인 조치를 진행중에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