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턱관절장애, 수술 없는 한방치료가 인기

ㅇㄹ

 

요즘 턱관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만큼 점점 턱관절장애에 대한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뜻이다.

턱관절장애가 생기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선천적인 경우는 태어날 때부터 턱뼈의 문제로 인해 생기는 경우와 후천적인 원인으로 잘못된 생활 습관, 교통사고 등에 의한 충격 등이 있으며 스트레스도 큰 요인 중 하나이다.

고등학생 이은지(가명)씨는 항상 껌을 즐겨 씹는다. 또한 턱을 괴고 컴퓨터 하는 습관이 턱관절장애를 불러왔다. 처음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그냥 지냈지만 점점 턱관절이 뻐근했고 갑작스런 턱관절의 통증에 불편함이 생겨 결국 병원을 찾게 되었다.

턱관절은 귀 바로 앞에 손을 대고 입을 벌리면 움직이는 부분, 턱뼈와 머리뼈를 연결하는 관절이다.

따라서 턱관절은 음식을 씹고, 침을 삼키고 말하는 등, 턱이 움직일 때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매우 움직임이 많은 관절이며, 우리 몸에서 오직 턱관절만이 양쪽 동시에 작용하는 양측성 관절이다. 이 관절에 이상 장애가 생기는 것이 악관절, 턱관절 장애라고 한다.

증상으로는 턱관절 부위의 걸리는 느낌이나 잡음, 턱관절 주변의 통증에서 시작하여 차츰 이명, 편두통이 발생하거나 목 근육, 어깨 근육 등이 뻣뻣해지기도 한다. 오래 방치하면 턱이 한 쪽으로 돌아가게 되고 얼굴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턱관절 장애의 치료법으로는 스플린트나 교정장치, 보철치료 등의 교정치료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며 일부의 경우 외과적인 수술 방법을 택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하지만 교정치료의 경우 교정기간이 2년 정도 걸리고 심미적인 문제와 불편함 때문에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와 치료 후 교정 장치를 제거 하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있어 치료가 매우 까다로운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바른턱 경희정함한의원 박근용 원장은 “이처럼 후천적인 원인으로 턱관절 부위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턱을 바르게 하는 정함 요법을 통해 벌어지고, 틀어진 관절을 본래의 상태로 되돌려 놓고 턱관절로 인해 발생했던 전신의 이상을 추나요법, 족부교정구, 운동요법, 약물요법, 동작침법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치료를 턱관절에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턱관절 초기일 경우에는 잘못된 습관만 고쳐도 상당부분 호전될 수 있는 만큼 평소 지나치게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삼가고, 좌, 우 양쪽으로 음식물을 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턱관절 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이며, 명상이나 요가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머리가 앞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허리를 곧게 세우고 머리를 뒤쪽으로 당겨서 앉는 자세를 습관화해야 턱관절을 건강하게 하는 방법이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