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삼성전자, 중국 시안 반도체공장 본격 가동 시작

삼성전자 시안반도체공장 전경

 

삼성전자가 9일 중국 산시성 시안시에서 현지 메모리 반도체 공장 건립을 마무리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삼성전자는 이날 자오정융 중국 산시성 당서기, 권영세 주중 한국대사, 권오현 대표이사를 비롯한 회사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시안 메모리 반도체 공장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들어갔다.

권오현 삼성전자 대표이사는 기념사에서 "과거 시안에서 출발한 실크로드가 동서양 문명 교류의 핵심 역할을 했던 것처럼 한국, 중국의 협력으로 탄생한 시안 공장이 '21세기 디지털 실크로드'의 출발점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 한-중-미 '글로벌 반도체 생산 트리오' 구축

2012년 9월 첫 삽을 뜬 시안의 메모리 반도체 공장은 총 70억달러(약 7조 5천243억 원)를 들여 약 20개월간의 공사를 거쳐 완성됐다.

총 115만㎡ 부지에 연면적 23만㎡ 규모로 건설된 이 공장은 한국에서 성능과 양산성이 확인된 10나노급 낸드플래시(V-NAND) 메모리를 두 번째로 생산한다.

이 공장은 미국 오스틴 공장에 이어 삼성전자가 두 번째로 추진하는 해외 반도체 생산 라인으로 중국인 1천300여 명을 비롯해 2천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시안 공장 가동으로 한국, 중국, 미국을 연결하는 '글로벌 반도체 생산 3거점 체제'를 구축했으며 이는 시스템 반도체 중심인 미국, 메모리 반도체 중심인 중국, 모든 반도체 제품을 생산·조정하는 한국이라는 '포트폴리오'를 의미한다고 삼성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10나노급 낸드플래시 제품의 '듀얼 생산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생산규모 확대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제품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안 공장 준공으로 글로벌 IT기업들의 생산거점이자 세계 낸드플래시 수요의 50%를 차지하는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공급하게 됐으며 시안에 동반 진출한 국내 협력사들도 60여 개에서 앞으로 100개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공장이 들어선 시안은 1천100여 년간 중국의 수도 역할을 한 고도로 과거 동서양의 문물을 연결하던 실크로드의 출발점으로도 알려져 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