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기업 76% "올해 노사관계 더 불안할 것"



기업/산업

    기업 76% "올해 노사관계 더 불안할 것"

    • 2014-01-12 14:42

     

    국내 기업 10곳 중 8곳 가까이는 올해 노사관계가 작년보다 더 불안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주요 회원사 232곳을 대상으로 올해 노사관계 전망 조사를 벌인 결과 응답 기업의 76.3%가 '작년보다 더 불안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작년에 실시된 동종의 조사에서 이듬해 노사관계가 불안해질 것으로 전망한 응답률(42.7%)보다 33.6% 포인트나 늘어난 수치다. 역대 조사와 비교하면 88%를 기록한 2010년 이후로 가장 높다.

    회원사들 중 올해 노사관계가 '작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은 21.1%, '더 안정될 것'이라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올해 통상임금 문제 등 노사관계 현안이 산적해 있는 데다 상당수 기업에서 임금교섭과 단체교섭이 동시에 진행되는 짝수해의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경총 측은 분석했다.

    응답 기업들은 노사관계가 가장 불안한 분야로 '공공 및 공무원'(18.8%)을 가장 많이 꼽았고 '대기업 및 공기업 협력업체'(16.4%)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노사관계가 불안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들은 그 요인으로 '통상임금 범위 확대'(20.2%)를 지목한 경우가 많았고 '정년 연장 및 임금피크제 도입'(18.3%)이나 '근로시간 단축'(13.6%) 등이라고 답변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또 응답 기업의 57.9%가 노사관계 안정을 위한 정부의 해결 과제로 '노사관계 법·제도의 합리적 개선'을 제안했고 '노사관계의 정치쟁점화 차단'(25.4%)이나 '산업현장 준법질서 확립'(8.8%) 등을 거론한 기업도 있었다.

    올해 임금 단체협상의 핵심 이슈에 대해서는 '임금 인상'(36.6%)이 될 거라고 답한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통상임금 범위 확대'(13.4%)와 '정년 연장'(9.4%) 등도 쟁점으로 전망됐다.

    응답 기업의 47%는 임금 단체협상 소요 기간을 '3∼4개월 정도'로 내다봤고 노조 측의 협상 요구 예상시점에 대해서는 '5월 이후'(53.4%)라는 답변이 절반을 넘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