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혜성 아이손, 우주로 튕겨 나가 다시 오지 않는다



IT/과학

    혜성 아이손, 우주로 튕겨 나가 다시 오지 않는다

    29일 새벽 태양 스치듯 통과

     

    한국천문연구원은 27일, 아이손 혜성이 오는 29일 새벽 3시 48분쯤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통과한다고 밝혔다.

    이때 태양 표면으로부터 혜성까지의 거리는 약 1,168,000km로 태양의 지름보다 가까우며 지구와 달사이 거리(38만km)의 약 3배에 해당한다.

    이렇게 태양을 스치듯이 지나가는 혜성을 '태양최접근 혜성'(sungrazing comets)이라고 부르는데 아이손 혜성이 근일점을 통과할 때의 운동속도는 초속 393km에 달한다고 천문연구원은 설명했다.

    아이손 혜성은 이 시기에 –3에서 –7등급까지 밝아지지만 햇빛에 가려 사람이 맨눈으로 보기는 어렵다.

    아이손 혜성은 근일점을 지나는 11월 29일, 햇빛에 가려 보이지 않다가 12월 1일에는 일출직전 동쪽 지평선 낮게 모습을 드러내게 되지만 일출 직전이기 때문에 볼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짧다고 천문연구원은 덧붙였다.

    천문연구원은 아이손이 혜성의 고향으로 알려진 오르트구름(Oort cloud)에서 탈출해 내태양계로 '처녀비행'을 하는 보기 드문 천체라고 밝혔다.

    이 혜성은 45억 년 전, 태양계 형성 직후부터 얼어붙은 채 남아 원시물질을 원형 그대로 보존하고 있으며, 태양계의 기원과 진화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아이손은 또 쌍곡선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비주기혜성으로 태양계 안쪽으로 들어오는 사건은 이번이 처음이며, 앞으로 성간 공간으로 튕겨져 나가 영원히 돌아오지 않는 운명을 맞게 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