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아이손 혜성…"이번에 놓치면 평생 못본다"



생활경제

    아이손 혜성…"이번에 놓치면 평생 못본다"

    아이손은 포물선 궤도로 다시는 볼수 없다

    자료사진(출처=유튜브)

     

    금세기 최고의 혜성으로 불리는 '아이손 혜성'을 직접 관측할 기회가 마련된다.

    국립과천과학관은 14일, 금세기 최고의 혜성 ‘아이손’ 관측시기를 맞아 과천시 정보도서관과 합동으로 도심에서 새벽 하늘을 가르는 혜성과 별똥별을 동시에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꼬리치는 혜성(ISON) 공개관측회’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꼬리치는 혜성(ISON) 공개관측회’는 오는 17일 새벽 04시부터 07시까지 국립과천과학관 천체관측소 일대에서 열리는 특별 공개관측행사라고 과학관은 설명했다.

    이번 행사는 1부 ‘별마중 놀이’를 시작으로 2부 혜성에 대해 알아보는 ‘혜성! 너 낯설다’ 와 겨울철 하늘을 이야기로 만나보는 ‘스토리 나잇(Story Night)’ 3부 천체망원경으로 직접 관찰해보는 ‘혜성을 들었다 놨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과천과학관은 17일 새벽은 도심에서 아이손 혜성의 전체모습을 관측하기에 매우 좋은 날이라고 밝혔다.

    혜성의 위치가 처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스피카)과 근접하고 있어 일반인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하늘 높이 떠 있는 목성과 서쪽으로 지고 있는 보름달을 동시에 관측하기에도 좋으며 특히, 사자자리 유성우 기간이기 때문에 간간히 떨어지는 별똥별도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과학관은 덧붙였다.

    아이손 혜성의 학술명은 'C/2012 S1'로 지난해 9월 러시아가 주도하는 국제 공동 천문연구팀인 '국제과학광학네트워크'(ISON)가 처음 발견했다고 해서 '아이손 혜성'이라고 불린다.

    S는 9월 16일부터 30일 사이에 발견됐다는 뜻이고, 1은 그 기간에 첫 번째로 발견됐다는 뜻이다

    아이손 혜성은 이동 궤도가 타원형이 아닌 포물선으로 한번 왔다가 태양을 스치고 지나가면 다른 곳으로 영원히 떠나 첫 만남이 마지막 만남이 되는 혜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혜성 가운데 가장 유명한 핼리 혜성보다는 작지만 태양 표면을 아주 가깝게 지나가기 때문에 주목받고 있다.

    과학관측은 태양과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 그만큼 태양에너지를 충분히 받을 수 있어 핵 속 물질들이 폭발적으로 분출돼 나오면서 압력 때문에 꼬리가 길게 밀려나가 훨씬 더 밝은 모습을 연출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