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할로윈 데이'에는 왜 유령분장을 할까?



문화 일반

    '할로윈 데이'에는 왜 유령분장을 할까?

    (사진=이미지비트 제공)

     

    '할로윈 데이'를 맞아 본래 서양의 축제인 '할로윈 데이'의 유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할로윈 데이'는 서양에서 10월 31일 유령분장을 하고 치르는 축제이며 영국과 미국, 북유럽 등에서 특히 큰 축제일로 여겨진다.

    하지만 원래 할로윈 데이는 기원전 500년경 아일랜드 켈트족의 '삼하인(Samhain) 축제'에서 유래됐다.

    켈트족들의 새해 첫날은 겨울이 시작되는 11월 1일인데 이들은 사람이 죽어도 그 영혼은 1년 동안 다른 사람의 몸 속에 있다가 내세로 간다고 믿었다. 때문에 한 해가 끝나는 날인 10월 31일, 죽은 자들의 영혼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귀신 복장을 하고 집안을 차갑게 했다.

    이후, 로마가 켈트족을 정복해 기독교가 들어오면서 교황 보니파체 4세는 11월 1일을 '모든 성인의 날(All Hallow Day)'로 정했다. 그 전날은 '크리스마스 이브'처럼 '모든 성인들의 날 전야(All Hallows` Eve)'로 불리게 됐고 이 말이 훗날 '할로윈(Halloween)'으로 바뀌게 된 것.

    미국에 할로윈 데이 축제가 국민적 축제로 자리잡게 된 것은 영국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부터다. {RELNEWS:right}

    할로윈 데이 밤에는 마녀·해적·만화주인공 등으로 분장한 어린이들이 "trick or treat(과자를 안주면 장난칠거야)"를 외치며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초콜릿과 사탕을 얻어간다. 또 큰 호박의 속을 파내 도깨비 얼굴을 새긴 '잭-오-랜턴(Jack O'Lantern)'이라는 호박등을 만들기도 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